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다음 금융위기 주범은 비트코인?…4000만 달러로 반대파 제거한 암호화폐 로비

글로벌이코노믹

다음 금융위기 주범은 비트코인?…4000만 달러로 반대파 제거한 암호화폐 로비

"JP모건도 뛰어든 암호화폐 담보대출, 테더는 독일 넘어 미국채 1200억 달러 보유"
마침내 세계 암호화폐 시장이 총 4조 달러 시대를 돌파했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마침내 세계 암호화폐 시장이 총 4조 달러 시대를 돌파했다. 사진=로이터
최근 JP모건체이스가 고객의 암호화폐를 담보로 한 대출 상품 출시를 검토한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암호화폐가 실물 경제로 본격 진출할 날이 다가왔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지난 28(현지시각) 파이낸셜타임스(FT) 보도에 따르면 JP모건체이스는 고객이 보유한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을 담보로 대출을 제공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며, 이르면 내년 상품화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이런 움직임은 지난달 미국 의회를 통과한 '지니어스 법안'(GENIUS Act)과 맞물려 더욱 주목받고 있다. 지니어스 법안은 지난 6월 상원을 6830으로, 7월 하원을 308122로 통과한 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서명해 발효됐다. 이 법안은 스테이블코인 발행과 운영에 대한 명확한 규제 체계를 제시하며 스테이블코인 시장을 살리는 법의 바탕을 마련했다.

◇ 암호화폐 로비, 반대파 제거에 막대한 자금 투입


암호화폐 업계가 정치권에 미치는 영향력이 상당하다는 점이 드러났다. 2024년 미국 중간선거에서 암호화폐 정치활동위원회들은 오하이오주 상원의원 선거에서 셰로드 브라운 의원을 제거하려고 약 4000만 달러(552억 원)를 썼다. 브라운 의원은 상원 은행위원회 위원장으로 암호화폐 규제를 강하게 주장해온 인물이었다.

페어셰이크(Fairshake) PAC와 관련 단체인 디펜드 아메리칸 잡스(Defend American Jobs)가 버니 모레노 공화당 후보 지원에 쓴 4000만 달러는 단일 선거구 암호화폐 지출 가운데 가장 큰 규모였다. 결국 브라운 의원은 모레노 후보에게 졌고, 암호화폐 업계는 주요 반대 세력을 없애는 데 성공했다.

엘리자베스 워렌 상원 은행위원회 수석 위원은 지니어스 법안에 대해 "로비스트들이 '안전한' 투자라는 정부 확인의 금색 스티커를 원하기 때문에 '우리를 규제해 달라'라고 말하고 있다"며 강하게 반대했으나 법안 통과를 막지 못했다.

◇ 암호화폐 기업 테더’, 미국채 보유량 독일 넘어 글로벌 금융 영향력 키워


스테이블코인의 금융시장 영향력이 커지는 것을 보여주는 대표 사례가 테더(Tether)의 미국 국채 보유량 증가다. 20251분기 기준 테더의 미국 국채 보유량은 1200억 달러(1657800억 원)에 이르러 독일의 1114억 달러(1538900억 원)를 넘어 전 세계 19위 수준에 올랐다.

테더는 2024년 한 해 동안 331억 달러(457200억 원) 규모의 미국 국채를 순매수해 세계 7위를 기록했다. 이는 캐나다, 멕시코 등 여러 나라를 넘어서는 수준이다. 테더는 자사 스테이블코인 USDT11 달러 연동을 보장하려고 안전자산인 미국 국채를 많이 갖고 있으며, 전체 자산의 80% 이상을 전통 자산에 투자하고 있다.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은 최근 상원 청문회에서 "스테이블코인 시장이 앞으로 몇 년 동안 약 2000억 달러(2763400억 원)에서 2조 달러(2763조 원) 규모로 10배 클 것으로 예상된다"고 내다봤다. 이는 대출 인수에서 국채 시장까지 모든 분야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분석된다.

◇ 금융위기 재현 우려, 변동성과 규제 미비 지적


전문가들은 암호화폐의 빠른 제도권 편입이 새로운 금융위기를 불러올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비트코인은 2020년 이후 주요 지수보다 거의 4배 높은 변동성을 보이고 있다. 피델리티 보고서에 따르면 비트코인의 S&P500 대비 3년 롤링 베타는 2.6으로 나타났다. 베타가 1보다 높으면 시장보다 변동성이 크다는 뜻으로, 비트코인이 고위험 투자 자산임을 보여준다.

특히 연방준비제도(Fed)가 인플레이션을 막으려고 금리를 급하게 올릴 경우 암호화폐 가격이 주식시장보다 더 크게 떨어질 위험이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암호화폐를 가진 금융기관들이 신용 위기에 빠질 수 있고, 이는 2008년 금융위기와 비슷한 상황을 만들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테더 같은 암호화폐 회사가 시장 하락기에 상환을 위해 국채를 팔아야 하는 상황도 걱정 요인으로 꼽힌다. 이는 국채 시장 불안정과 차입 비용 오름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결국 일반 시민들이 투기꾼들을 구제해야 하는 상황이 다시 나올 수 있다는 경고가 나오고 있다.

금융 전문가들은 지금 상황이 2000년 파생상품 옹호자들이 '금융 혁신'을 내세워 규제 완화를 요구했던 것과 비슷하다고 지적한다. 당시 제대로 규제되지 않은 신용 디폴트 스왑이 7배 늘어난 후 2008년 대규모 금융위기로 끝났던 전례를 떠올리며, 충분한 규제 없는 암호화폐 확산의 위험성을 경고하고 있다.

이는 또한 클린턴 시대의 광범위한 규제 완화, 2018년 지역 은행에 대한 도드-프랭크 규제 약화와도 연결선상에 있다는 분석이다. 이런 초당파 규제 완화가 모두 결국 금융 불안정으로 이어졌다는 점에서 지금의 암호화폐 규제 완화도 비슷한 결과를 낳을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