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초점] 미·중 인공지능(AI) 경쟁 가속…세계 AI 패권 쟁탈전 본격화

글로벌이코노믹

[초점] 미·중 인공지능(AI) 경쟁 가속…세계 AI 패권 쟁탈전 본격화

"상하이 세계인공지능대회서 중국 ‘글로벌 AI 협력’ 계획 발표, 미국은 ‘AI 우승 전략’으로 패권 유지 강화"
미국과 중국이 인공지능(AI) 분야에서 주도권을 두고 치열하게 경쟁하는 가운데 세계가 두 개의 AI 진영으로 분리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이미지=GPT4o이미지 확대보기
미국과 중국이 인공지능(AI) 분야에서 주도권을 두고 치열하게 경쟁하는 가운데 세계가 두 개의 AI 진영으로 분리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이미지=GPT4o
미국과 중국이 인공지능(AI) 분야에서 주도권을 두고 치열하게 경쟁하며 세계가 두 개의 AI 진영으로 나뉘는 현상이 뚜렷해지고 있다고 지난 20(현지시각) 배런스가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중국은 상하이에서 열린 세계인공지능대회(WAIC)에서 리창 총리가 국제 AI 협력 기구 설립 구상을 밝힌 반면, 미국은 트럼프 대통령이 백악관에서 ‘AI 우승 전략을 발표해 각자의 서로 다른 전략을 드러냈다.

◇ 미국 우승에 집중한 AI 패권 전략


백악관이 발표한 ‘Winning the AI Race’ 계획은 AI를 경제뿐 아니라 군사 기술로도 매우 중요하게 보고 있다. AI 하드웨어, 모델, 소프트웨어, 응용, 국제 표준 등 AI 관련 모든 분야에서 미국이 글로벌 리더십을 쥐려 한다. 미국 정부는 예산을 확대해 데이터센터 전력 문제를 해결하고, 동맹국에 자국 기준에 맞는 규제와 수출 통제를 요구해 중국의 영향력 확산을 막으려 한다. 미국은 AI 분야에서 세계 패권을 확립하고 그 영향력을 유지하려는 의지를 분명히 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이 계획이 AI 신뢰 구축과 다자간 협력의 중요성을 간과했다고 지적한다. AI 윤리, 신뢰성, 데이터 공유 등의 사회적 측면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았다. AI 발전에 중요한 인재 확보와 데이터 활용 방안이 부족하다는 점도 문제로 꼽힌다.

◇ 중국 협력·포용앞세운 글로벌 AI 거버넌스


중국은 7월 상하이 세계인공지능대회에서 글로벌 AI 거버넌스 행동 계획을 발표했다. AI과학 기술 혁명과 산업 변화의 핵심 동력으로 규정하고, 국제 공공재로서 전 세계가 협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중국은 여러 나라가 참여하는 국제적인 AI 협력 기구 설립을 추진하며, AI 데이터 공유와 신뢰 구축을 강조했다. 중국 상하이에 본부를 세우는 이 기구는 AI 기술 독점과 불평등을 막고자 한다.

중국은 AI 기술 자급률을 높이고 개발도상국과 협력 관계를 확대해 세력을 늘리고 있다. 시장 관계자들은 중국의 이런 전략이 브라질, 인도 등 신흥국에서 호응을 얻을 것으로 보고 있다. 중국은 AI와 반도체 분야에서 미국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며 경쟁력을 키우고 있다.

◇ 세계 AI 경쟁과 국제사회 대응 방향


국제 정세 전문가들은 미·AI 경쟁이 단순한 기술 경쟁이 아니라 AI 생태계와 규범, 데이터 흐름, 인재 확보까지 아우르는 패권 경쟁으로 진화했다고 분석한다. 미국은 동맹 중심의 ‘AI 보호 체계를 강화하는 한편, 중국은 중국식디지털 질서 확립을 목표로 글로벌 협력에 나서는 양상이다.

AI 분야에서 신뢰와 협력이 중요해지는 가운데 미국의 패권 전략이 장기적으로는 국제적 수용력을 떨어뜨릴 수 있다는 지적이 있다. 이런 상황에서 국제사회는 미·중 대결 속에서도 다자 간 공동 규범 체계를 마련하려는 노력을 이어가야 한다는 목소리가 크다.

상하이 대회 관계자는 ·중 두 진영이 서로 다른 길을 가고 있지만, 앞으로 다른 나라와 기업들이 어떤 선택을 하느냐에 따라 구도가 달라질 수도 있다고 전했다.

2025년 들어 AI 칩 공급 규제, 연구 인력 확보 경쟁, 글로벌 특허 출원, 인프라 구축 속도 차이 등이 맞물려 미·중 긴장이 더 심해졌다. AI가 글로벌 경제와 안보의 핵심 요소로 자리 잡으면서, 전 세계에 미칠 영향이 클 것으로 보인다.

이제 미·AI 경쟁은 서로 다른 전략과 가치관 아래 세계가 AI 진영으로 나뉘고 있는 모습을 보인다. 전 세계는 이 구도가 앞으로 AI 기술 발전과 글로벌 공급망, 국제 규범 형성에 어떤 영향을 끼칠지 주시하고 있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