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마음이 따뜻한 독서편지(457)] 분노의 숫자

글로벌이코노믹

[마음이 따뜻한 독서편지(457)] 분노의 숫자

‘분노의 숫자’는 최저 출산율, 자녀 양육비, 노동자 임금, 성별 임금 격차, 가계 부채, 대기업 임금, 주택가격, 저소득층 의료비 부담, 저소득층 복지, 노인 자살률 등 한국 사회의 문제를 고스란히 통계 수치로 나타낸 책이다.

초등학교 6학년 사회, 실과 교과서를 재구성하여 경제 프로젝트를 실시한 후 독서 토론을 시키기로 했다. 토론을 할 때 근거로 제시하게 할까 싶어 집어 든 책이다. 사실 뉴스 등에서 많이 접하여 새삼스러울 것도 없는 통계 수치이기도 하지만 불평등에 관한 이 통계들을 보고 있노라면 화가 나거나 한숨이 나오지 않을 수 없다. 그래서 이 책을 아이들에게 들이미는 데는 고민이 필요했다. 토론에 유용한 자료로 쓰는 것도 좋지만, 6학년 아이들이 책을 읽으면서 드는 부조리함을 어떻게 이해하고 처리하게 해야 할 지 쉽게 결정이 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미지 확대보기

책의 에필로그를 보면 다음과 같은 구절이 있다. “이 책을 쓰면서 떠나지 않았던 고민은 ‘분노에 무슨 힘이 있는가?’였습니다. 분노를 강요하는 책이 아닌, 실천적으로 도움이 되는 책이길 바랐습니다. 이 책은 한국사회를 현미경처럼 들여다본 통계에 기초해 있지만 단순한 통계의 나열이 아니라 이를 우리 삶의 궤적에 맞춰 재구성했다는 데 의의가 있습니다.”

사실 개인적으로 ‘분노’라는 감정을 자주 경험하지도, 필요성을 느끼지도 않는다. 또한 분노한 감정으로 문제를 해결하려는 것 또한 선호하지 않는다. 하지만 문제가 생겼을 때 공동체가 내 일처럼 함께 문제를 공감하고 적극적으로 해결하려는 노력은 분명 필요하고, 이 과정에서 뜨거움을 가지면 분노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든다.

메르스 사태로 나라 안이 뒤숭숭하다. 많은 이들이 뜨거움을 가지고 내 일처럼 해결하려 했다면 이 사태까지 오지는 않았을 텐데 깊은 한숨이 절로 쉬어진다. 메르스 발병 국가 누계 2위라는 신기하고도 새로운 분노의 숫자가 또 만들어지려나 보다.
오여진 서울상원초 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