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노선 감축과 기종 변경도 잇따라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등은 물론 일본 의존도가 높은 저비용항공사(LCC)도 일본 노선을 감축하고 중국·동남아 등 다른 단거리 노선으로 조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1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대한항공은 9월3일부터 주 3회(화·목·토) 운항 중인 '부산-삿포로' 노선 운항을 중단하기로 했다. 또한 인천-삿포로·오사카·후쿠오카·나고야 노선에 8~9월부터 기존 항공기보다 20~50석 가량 적은 항공기로 교체해 운항한다.
아시아나항공은 9월 중순부터 인천-후쿠오카·오사카·오키나와 노선에 투입되는 항공기를 기존 A330에서 B767, A321 등 소형기로 변경한다. 최대 290명까지 태울 수 있는 A330 기종에서 174~250석 규모의 작은 기종으로 바꿔 공급좌석을 최대 11여 석 줄일 방침이다.
티웨이항공도 대구-장자제, 옌지 노선을 9월부터 취항하면서 본격적인 중국 하늘길 확장에 나섰다. 티웨이항공은 지난 5월 중국노선 운수권 배분 심사를 통해 △인천-베이징 △인천-선양 △대구-베이징 △청주-옌지 △인천-우한 등 수도권과 지방발을 포함해 총 9개 노선의 운수권을 배분받았다.
현재 인천-산야·지난·원저우·칭다오 노선을 운항 중인 티웨이항공은 이번 취항을 포함해 9월부터 총 6곳의 중국 정기노선을 운영하게 됐으며 배분 받은 중국노선의 지속적인 취항으로 본격적인 동북아 하늘길 확장을 통한 매출 성장을 이어나갈 예정이다.
아울러 제주항공은 오는 21일 무안-장자제와 22일 옌지 노선 취항을 앞두고 있으며 에어부산은 인천발 출발 중국 노선인 선전, 청두, 닝보 등을 연내 취항할 예정이다. 에어서울도 올해 안에 중국 노선 신규 취항을 준비 중이다.
항공업계 관계자는 "국내 항공업계가 일본 노선 감소 폭이 커지자 운항 축소, 대체 노선 발굴 등 본격 대응에 나서고 있다"며 "일본의 수출 규제로 여행 불매 운동이 확산되면서 올해 2분기 줄줄이 영업적자가 점쳐지고 있는 가운데 중국·동남아 등 다른 단거리 노선으로 수익성 방어에 성공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고 말했다.
박상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sh6554@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