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신재생에너지 글로벌] 덴마크 전력 50%가 풍력 "정권교체 돼도 에너지정책 불변"

공유
1

[신재생에너지 글로벌] 덴마크 전력 50%가 풍력 "정권교체 돼도 에너지정책 불변"

세계재생에너지총회 참석 IRENA 사무총장·덴마크 풍력발전사 부사장 한국에 '일침'
"한국은 주변국과 에너지 교류 하기 어려운 '섬'...반대여론에 과감히 맞서야" 주문
"덴마크 8년 뒤 풍력으로 전력 100% 충당 목표...한국 인허가 지연은 정책과 상치돼"

지난 23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제8회 세계재생에너지총회(KIREC SEOUL 2019)' 주요인사 공동인터뷰에서 국제재생에너지기구(IRENA) 프란체스코 라 카메라 사무총장(가운데)과 베스타스 모튼 뒤홀름 수석부사장(왼쪽) 등이 인터뷰하고 있다. 사진=김철훈 기자 이미지 확대보기
지난 23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제8회 세계재생에너지총회(KIREC SEOUL 2019)' 주요인사 공동인터뷰에서 국제재생에너지기구(IRENA) 프란체스코 라 카메라 사무총장(가운데)과 베스타스 모튼 뒤홀름 수석부사장(왼쪽) 등이 인터뷰하고 있다. 사진=김철훈 기자
지난 25일 서울서 폐막한 '제8회 세계재생에너지총회(KIREC SEOUL 2019)'는 전지구적 재앙인 '기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전세계의 정부, 도시, 기업, 전문가들이 모여 신재생에너지로 과감한 전환, 지속적이고 효율적인 에너지 전환 정책 방안을 고민하고 모색하는 '글로벌 컨센서스(consensus·공동체 합의)'의 자리였다.

지난 23일 개막한 사흘간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세계재생에너지총회는 이같은 신재생에너지의 시대적 흐름을 공유하고 각국의 모범정책을 파악하기 위해 전세계 108개국 3500여명이 참석해 성황을 이뤘다.
산업통상자원부와 서울시가 공동주최로 나선 이번 총회에서 국제재생에너지기구(IRENA) 프란체스코 라 카메라 사무총장과 덴마크 풍력발전기 제조사 베스타스의 모튼 뒤홀름 수석부사장은 공동인터뷰를 갖고 한국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확대 계획을 격려했다.

총회 공동주최 기관인 REN21(재생에너지정책네트워크)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전세계 총 발전량 중 재생에너지의 비중은 26% 차지하고 있지만, 우리나라의 재생에너지 비중은 국내 발전량의 8%에 머물러 있는 수준이다.

세계에서 재생에너지 비중이 가장 높은 나라는 덴마크로 대부분 풍력이며, 재생에너지 강국 2위는 호주이다.

행사 기간 공동 인터뷰에서 소개된 프란체스코 라 카메라 IRENA 사무총장의 한국 에너지정책 평가와 베스타스의 뒤홀름 부사장의 덴마크 신재생에너지 현황을 정리해 소개한다.

프란체스코 라 카메라 국제재생에너지기구(IRENA) 사무총장. 사진=김철훈 기자
프란체스코 라 카메라 국제재생에너지기구(IRENA) 사무총장. 사진=김철훈 기자


◆ 국제재생에너지기구(IRENA) 프란체스코 라 카메라 사무총장
“공동인터뷰에 앞서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면담했다. 성 장관은 '한국 전체 발전 가운데 재생에너지가 차지하는 비중이 8% 밖에 되지 않는다'고 우려를 표명하며 '2040년까지 재생에너지 비중을 전체의 30%로 확대하는 것이 (한국의) 목표'라고 설명했다.

개인적으로 한국 정부의 이같은 계획을 격려한다고 전했고, 언제든 한국을 도울 준비가 돼 있다고 성 장관에게 말했다.

한국은 지정학적으로 주변국과 에너지를 교류하기 어려운 '섬'이다. 따라서 한국으로서는 주변국과 에너지를 연결하는 방법을 찾는 것이 중요하며, 재생에너지가 유일한 대안이 될 것이라고 본다.

(한국의 탈원전 정책에 관해) 특정국가의 정책을 평가하기는 적절치 않지만 재생에너지가 가장 경제적인 대안이자 유일한 길이라는 점은 분명하다.

재생에너지를 반대하는 여론에는 과감히 맞서 싸워야 한다. 재생에너지에 가하는 논리적 반대는 불가능하며, 반대하는 사람들은 '논리적 이유'로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개인적 이해관계' 때문에 반대하는 것이다.”

모튼 뒤홀름 베스타스 수석부사장. 사진=김철훈 기자
모튼 뒤홀름 베스타스 수석부사장. 사진=김철훈 기자

◆ 베스타스(덴마크 풍력발전기 제조사) 모튼 뒤홀름 수석부사장

“덴마크는 현재 전체 발전량의 50%를 풍력발전으로 채우고 있다. 8년 뒤에는 국가 전력의 100%를 풍력으로 완전 충당하는 것이 목표이다.

덴마크 정부의 이런 과감한 목표가 가능한 것은 주변국과 에너지 교류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즉, 노르웨이·스웨덴 등 수력발전을 많이 하는 주변국과 전력 계통망(grid·그리드)을 연결해 풍력발전량이 많을 땐 이들 나라에 전력을 수출하고, 부족하면 이들로부터 전력을 수입하면 된다.

덕분에 덴마크는 화력·원자력 등을 기저전력으로 하고 그 위에 재생에너지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풍력을 기저전력으로 삼고 긴급한 경우에만 열병합발전소를 활용하고 있다.

이같은 에너지 전환의 성공은 지난 40년간 정권이 바뀌는 과정에서도 덴마크 정부가 재생에너지 정책을 일관되게 유지한 결과이다. 초기에는 덴마크 정부가 풍력발전 보조금을 지원했지만 지금은 보조금 없이도 충분한 풍력발전시장이 구축돼 있다.

독일도 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한 야심찬 목표를 세웠지만 전력 그리드 측면에서 문제를 겪었고, 한국처럼 인·허가 시스템이 느리다는 점도 목표와 현실 사이의 괴리를 낳았다.

덴마크나 네덜란드는 기본적으로 전력계통의 확충 필요성을 국민들과 충분히 소통하고 수용성을 높인 결과, 전력 그리드 구축에 성공했다.

한국은 북유럽처럼 인접국가와 그리드가 서로 연결돼 있지 않지만, 이미 풍부한 풍력 자원과 기술력을 갖추고 있는 만큼 이제는 정부가 시장 메커니즘을 만드는데 힘쓰는 것이 중요하다.”


김철훈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kch0054@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