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족·한족이 건설현장 외국인 노동자 절반 이상 차지
건설업계, 의심증상 확인‧감염예방수칙 전파 등 대책마련 분주
건설업계, 의심증상 확인‧감염예방수칙 전파 등 대책마련 분주

29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국내 건설사들은 최근 우한폐렴 확산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으며, 현장 근로자들의 우한폐렴 감염을 차단하기 위한 대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
건설업은 조선업과 함께 타 업종에 비해 외국인 인력이 많은 편에 속한다. 한국이민학회의 ‘건설업 외국인력 실태‧공급체계 개선방안’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18년 5월 기준 건설현장에서 근무하고 있는 외국인 노동자 수는 22만6391명으로 조사됐다. 이 중에서도 조선족이 52.5%, 중국 한족이 26.4% 등으로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국내 건설사들은 이번 우한폐렴 사태에 대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중국인 근로자 중 폐렴 확진자가 발생할 경우 공사 중단 등 국내 건설현장에 미치는 악영향도 상당하기 때문이다.
포스코건설은 현장 인력 출근 시 출입국 기록과 최근 중국 방문자와 접촉 여부를 확인하는 등 지속관찰 모니터링을 통해 증상 의심자를 수시로 체크하고 있다.
대림산업은 오전 아침 체조시간을 이용해 연휴기간 중국을 다녀온 직원이 있는지를 확인해 발열이나 기침 등 의심증상 여부를 확인하고 있으며, 호반건설은 건설 현장인력에 대해 폐렴 감염 의심 증상 확인 시 작업 참여를 제한하는 등의 조치를 내렸다.
중국 현지에서 공사를 수행 중인 건설사들도 본사 직원 건강상태 확인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중국 상하이 진산(金産) 공업구 내 현대엘리베이터 생산 공장을 건설 중인 현대건설은 상하이 시에서 내린 지침을 따르고 있다. 현대건설 측은 “다음달 9일까지 작업이 금지되고, 외부 인원은 현장 출입이 엄격히 통제되고 있다”면서 “현장 작업 재개 시 출근 인력의 체온 확인, 출입국 기록 검토 등 국내 지침도 동시에 지켜질 수 있도록 관리감독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중국 시안(西安)에서 반도체공장을 건설 중인 삼성물산도 현장에서 체온계와 마스크 등을 확보해 직원들의 건강 상태를 확인하고 예방 조치를 취하고 있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건설현장 뿐 아니라 우한폐렴 확산 방지를 위해 사람들이 몰리는 아파트 견본주택 내 위생관리에도 특별히 신경 쓰고 있다”면서 “견본주택 내 마스크, 손 소독제를 비치하고, 열화상카메라, 전신소독게이트 등을 설치해 방역 준비에 만전을 기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하수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hskim@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