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족저근막염 환자의 인구학적 특성 및 의료이용 현황 분석

안 한의사 연구팀에 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전체환자표본 자료를 활용해 총 9년간 족저근막염을 진단받고 한의과 혹은 의과 진료를 1회 이상 받은 6만79명의 환자와 22만8150건의 치료기록을 표본 추출해 연구 대상으로 설정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2010년 대비 2018년 족저근막염으로 의료기관을 찾은 환 수는 183.53% 가량 증가했다. 성비는 남성이 42.29%, 여성이 57.71%로 약 1.36배 더 많았다. 연령대는 45~54세가 26.06%, 35~44세가 19.54%, 55~64세가 19.33% 집계돼 주로 40대 전후 호발하는 것이 나타났다. 입원치료 비율은 0.12%로 거의 대부분의 치료가 외래를 통해 이뤄지는 것으로 파악됐다.
또한 질환의 계절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9년간 각 분기별 족저근막염 진료 건수를 분석한 결과 공통적으로 매년 7~9월에 해당되는 3분기에 환자 수가 늘어나는 경향을 보였다. 연구팀은 계절적으로 여름과 가을인 3분기에는 야외활동 인구가 늘어나는데다 샌들, 슬리퍼 등 보행시 충격흡수가 어려운 신발을 자주 신기 때문이라고 해석했다.
안재서 한의사는 "이번 연구는 우리나라 족저근막염의 환자 특성, 치료 종류, 비용 등을 한의과와 의과로 나눠 동시에 분석한 첫 번째 논문"이라며 "향후 족저근막염 환자 치료 및 관리 뿐만 아니라 건강보험 수가·예산 책정 등 국가 보건정책 의사결정을 돕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재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kiscezyr@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