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연구는 'AI 기반 3D 광회절단층촬영을 활용한 담관암 진단 강화'라는 제목으로 SCIE급 국제 학술지인 '메써즈' 6월호에 게재됐다.
연구팀은 암세포의 특징 중 하나인 세포 내 '지질 방울'의 대사적 변화에 주목했다. 암세포는 정상세포에 비해 지질 방울의 부피, 밀도, 분포에서 뚜렷한 대사적 차이가 있다. 연구팀은 이를 정량화할 수 있는 3D ODT 영상 기술과 AI 기반 합성곱 신경망(CNN)을 이용해 암세포를 자동 분류하는 모델을 개발했다.
실험에는 담관암 세포주 및 정상 담관세포를 활용했으며 약 9만장 이상의 세포 이미지를 CNN 모델에 학습시켰다. 단일이미지 분석 기반 정확도는 93.8%였고, 지질 방울의 정보를 포함한 다중모델 학습 정확도는 97.9%에 달했다. 최종적으로 다각도 영상 융합기법을 적용한 최종 모델의 진단 정확도는 98.6%로 매우 높은 수준을 보였다.
이 교수는 "지질 방울은 암세포 내에서 에너지 저장, 세포막 합성, 스트레스 반응 등에 관여하는 주요 대사 인자로 암의 침습성이나 약물 내성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며 "이번 기술은 단순 영상 분석을 넘어 암세포의 대사적 특징을 반영한 정밀 진단 플랫폼으로의 확장 가능성이 높고 이번에 개발한 진단법은 3D ODT를 통해 세포 내 지질 방울을 시각화할 수 있었고 이후 AI를 통해 고차원 영상에서 복잡한 지질 방울의 특징을 자동으로 추출해 진단 정확도를 높였다"고 설명했다.
또한 "기존 병리진단은 조직 채취 후 염색 및 판독에 수일이 소요되지만 이 진단법은 AI가 염색 없이도 세포 수준에서 암세포를 실시간으로 식별할 수 있다"며 "의료현장에서의 빠른 임상 판단과 치료 결정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재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kiscezyr@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