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수험생이 많이 하는 라식, 라섹, 렌즈삽입술. 꼭 체크해야 할 사항은?"

글로벌이코노믹

"수험생이 많이 하는 라식, 라섹, 렌즈삽입술. 꼭 체크해야 할 사항은?"

정충기 강남 드림성모안과 원장은 최근 수험생을 위한 다양한 혜택을 준비하고 있어서인지 수험생 환자들이 많이 내원하고 있다. 시력교정 수술은 처음에 받을 때 적합한 수술을 받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며, 그를 위해서는 정밀한 눈 종합검사가 선행되어야 한다라고 설명했다. 정충기 원장이 시력 교정수술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강남 드림성모안과이미지 확대보기
정충기 강남 드림성모안과 원장은 "최근 수험생을 위한 다양한 혜택을 준비하고 있어서인지 수험생 환자들이 많이 내원하고 있다. 시력교정 수술은 처음에 받을 때 적합한 수술을 받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며, 그를 위해서는 정밀한 눈 종합검사가 선행되어야 한다"라고 설명했다. 정충기 원장이 시력 교정수술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강남 드림성모안과
수능시험, 대입을 마치고 수험생들의 시력교정 수술이나 성형수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안과에서 시행되는 수험생 시력교정 수술의 경우, 근시인지 원시인지, 난시가 있는지 여부와 함께 근시라 해도 고도근시인지, 초고도근시인지 등에 따라 수술의 방법이 다양하기 때문에 정확히 알아보고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간혹 라식·라섹검사 후 수술을 나중으로 미루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는 성장이 멈추지 않아 시력 변화가 진행 중일 때 시력교정수술 대상의 기준은 일반적으로 만 18세 이상이며, 최근 6개월 사이에 급격한 시력변화가 없어야 하기 때문에 전문의들은 권장하지는 않는다.

또 콘택트렌즈를 무리해서 착용했던 경우라면 렌즈를 빼고 충분한 시간 후 검사와 수술을 받는 것이 좋다. 일반적으로 소프트렌즈는 3~7일 정도, 하드렌즈의 경우는 10일~2주 정도 착용을 멈추고 검사를 받아야 정확한 각막 모양을 알 수 있다.
물론 검사를 해보면 렌즈로 인해 각막이 영향을 받은 상태인지 아닌지 파악이 가능하기 때문에 걱정할 필요는 없다.

20대엔 서클렌즈나 컬러렌즈를 착용하는 경우도 많은데 이 경우 각막염 등 부작용의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수술여부에 관계없이 착용을 자제하는 것이 좋다. 드물게 렌즈 부작용으로 각막염이 각막의 중심부에 생기면 라식, 라섹 등의 시력교정 수술이 불가능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시력교정수술의 대표적인 방법은 레이저 시력교정방법인 라섹, 라식, 스마일 라식이 있다. 또 눈 안에 ICL, 아쿠아ICL, IPCL 등의 안내삽입렌즈를 삽입하는 안내렌즈 삽입술 같은 방법도 있다. 어떤 수술을 선택할지는 각각의 조건에 따라 결정하게 된다.

이런 수술 방법 중 부작용이 적고 안전성이 높아 가장 안전한 수술로 권할 수 있는 것은 라섹수술이다. 반면 회복속도는 라식수술과 스마일 라식수술이 우수하다. 라식과 스마일 라식 중에서는 라식이 조금 더 회복이 빠르며, 외상에 대한 안전함은 라섹과 스마일 라식이 좋지만 라식의 경우도 요즘은 업그레이드 되어 절개면이 안전하고 격투기 같은 강한 충격의 운동을 하지 않는다면 제한 사항은 없다.

시력의 질에 있어서는 라식과 라섹이 우수하고, 스마일라식은 난시 교정효과가 떨어진다. 이는 시력의 질을 좋게 하는 웨이브프론트 방식의 수술적용이 어렵기 때문이다. 절개부위가 상대적으로 작다는 점이 장점으로 여겨지고 있다.

라식, 라섹처럼 레이저로 각막을 수술하는 방법 대비 안내렌즈 삽입술은 각막을 깍지않고 눈 안에 인공렌즈를 맞춤식으로 넣어준다. 안내렌즈삽입술은 라식이나 라섹, 스마일라식을 하기에는 도수가 너무 높거나 각막이 얇은 경우에 적용하며 수술비용이 다른 수술에 비해서 고가이다.

정충기 강남 드림성모안과 원장은 “최근 수험생을 위한 다양한 혜택을 준비하고 있어서인지 수험생 환자들이 많이 내원하고 있다. 시력교정 수술은 처음에 받을 때 적합한 수술을 받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며, 그를 위해서는 정밀한 눈 종합검사가 선행되어야 한다. 특히 수험생의 경우는 나이가 상대적으로 어리기 때문에 향후 변화될 눈을 충분히 예상하고 부작용 없이 안전한 방법을 염두에 두고 진행해야 한다. 경험이 풍부한 안과 전문의에게 검사와 수술을 받고 철저한 사후관리를 받는 것이 좋은 결과를 위해 꼭 필요하다”라고 설명했다.


황재용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hsoul38@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