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다이슨 코리아, 서울대 보건대학원과 '한국 가정의 집먼지 특성' 공동연구

글로벌이코노믹

다이슨 코리아, 서울대 보건대학원과 '한국 가정의 집먼지 특성' 공동연구

먼지의 생물학적·화학적 인자 분석…집먼지 유해성에 대한 경각심 고취 목적
다이슨 코리아가 서울대 보건대학원과 '한국 가정의 집먼지 특성'에 관해 공동연구를 한다. 사진=다이슨 코리아이미지 확대보기
다이슨 코리아가 서울대 보건대학원과 '한국 가정의 집먼지 특성'에 관해 공동연구를 한다. 사진=다이슨 코리아
글로벌 기술 기업 다이슨 코리아가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이하 서울대 보건대학원)과 실내 환경 관리와 집먼지 특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는 ‘한국 가정의 집먼지 특성’ 공동연구를 진행한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공동연구에서 서울대 보건대학원은 집먼지에 든 생물학적‧화학적 인자의 종류와 분포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다양한 분석과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연구에서 살펴볼 집먼지는 박테리아, 곰팡이 등의 생물학적 인자와 환경호르몬, 중금속 등의 화학적 인자를 포함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먼지 수집은 각 가정에서 사용 중인 진공청소기와 공기청정기를 이용한다. 대학원 측은 수집된 먼지를 분석해 가정의 집먼지 특성을 파악할 예정이다.

집먼지 성분 분석은 다이슨 무선청소기와 공기청정기 제품을 사용하고 있는 가정을 대상으로 진행되며, 참여를 원하는 가정은 다이슨 코리아 공식 인스타그램 채널에서 지원할 수 있다.
다이슨 코리아 측은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실내 환경 관리와 집먼지 성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파악하기 위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조사원 직접 방문 또는 우편으로 먼지를 수거한다.

서울대 보건대학원은 설문 결과와 수거된 먼지를 바탕으로 각 가정의 먼지의 화학적 인자 성분‧농도, 생물학적 인자, 알레르기 유발 원인 물질인 알레르겐 성분‧농도를 분석한다.

이기영 서울대 보건대학원 교수는 “코로나19로 실내에 머무는 시간이 더욱 늘어나고 실내 공기 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집먼지의 유해성과 특성에 대해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더욱 중요해졌다”면서 “이 연구로 한국 가정의 집먼지 특성에 대한 가장 포괄적이고 심층적인 결과를 얻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토마스 센테노 다이슨 코리아 대표는 “이번 연구로 한국의 집먼지 특성에 대해 더욱 잘 이해하고자 한다. 동시에 집먼지 유해성에 대한 경각심을 고취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손민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minjizzang@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