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로 보면 혁신(innovation)은 ‘안’을 뜻하는 ‘in’과 ‘새롭다’는 뜻의 ‘nova’가 결합한 것으로 이를 해석하면 안에서부터 시작해서 새롭게 한다는 의미라고 한다. 혁신은 “혁신에 의해 투자, 소비 수요가 자극되어 경제 호황이 형성된다”고 주장했던 미국의 경제학자 슘페터의 경제발전론의 중심 개념이다.
박근혜 정부는 혁신을 위한 정책으로 ‘창조경제’를 주장해서 대부분 정책에 ‘창조’가 붙기도 했다. ‘창조경제’ 정책도 공과가 있다. 정책의 공과를 논하려는 것이 아니다. 박근혜 정부는 창조경제 정책을 실현하기 위해, 2014년 3월 운영방안을 수립하고 전국 17개 광역 지자체에 지역 특화 사업 기반의 창업 및 신산업 창출, 창업 벤처와 중소기업 육성 등을 지원하는 17개 창조경제혁신센터(Center for Creative Economy and Innovation: CCEI)를 만들었다.
문재인 정부는 정부가 들어서자마자 모든 정책에서 ‘창조’를 지우는 작업을 했다. 정권이나 정부가 바뀌면 매번 그래왔기 때문에 그럴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런데 창조경제혁신센터도 명칭이 바로 바뀔 것 같았는데, 적절한 대안을 못 찾았는지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그런데 이름은 유지하는데 성격은 변한 것으로 보인다. 2017년 7월 창조경제 진흥 업무가 중소벤처기업부로 이관되어 중소벤처기업부 주관, 창업진흥원 운영으로 변경되었다.
문재인 정부는 창조경제혁신센터 명칭을 바꾸려고 했으나 적절한 다른 명칭을 못 찾거나 바꿀 시기를 놓쳐서 못 바꾼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차기 정부도 이 명칭을 그대로 사용할 수는 없을 것으로 본다. 다음 정부는 명칭을 현재 주로 하고 있는 업무 내용에 맞게 창업혁신센터나 창업지원센터로 바꾸거나 더 바람직한 것은 ESG혁신센터나 ESG지원센터로 바꾸는 것이다.
ESG를 전국적으로 모든 기업과 공공기관에 확산하는 것은 꼭 필요한 일이다. 기업과 공공기관의 관계자들은 ESG를 추진해야 하는데, 어떻게 해야 할지 어디서 도움을 받을지 모르겠다는 얘기를 많이 한다. 창조경제혁신센터를 ESG혁신센터로 변경하면 정권이나 정부가 바뀐다고 명칭을 바꿀 필요도 없다. ESG혁신센터는 오랜 기간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창조경제혁신센터를 ESG혁신센터로 대대적인 개편을 하거나 그것이 어렵다면 17개 광역지자체와 2개 특별자치지역 등 19개 지역에 ESG혁신센터를 설립해서 운영하는 것은 조속하게 시행해야 한다. 이는 매우 중요한 사안이라고 판단되는데 아직 대선후보 누구도 공약을 내놓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각 대선캠프에서는 ESG혁신센터 설립과 ESG혁신 추진 컨트롤 타워 역할을 할 수 있는 국가ESG혁신위원회 설립을 검토하고 적극적으로 추진하길 바란다.
문형남 국가ESG연구원 원장(숙명여대 경영전문대학원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