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8일 금융감독원 금융통계정보시스템에 따르면 메리츠화재의 올해 6월 말 설계사 수는 1만9774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1만4409명)보다 37.2%(5365명) 증가했다. 메리츠화재의 설계사 수는 김용범 부회장이 취임한 2015년 이후 꾸준히 증가해 2016년 6월 말 9773명에서 3년 새 1만 명 이상 늘었다.
메리츠화재의 전속설계사 채널 규모는 2018년 DB손해보험을 제친 뒤 올해 6월 말 업계 1위 삼성화재도 추월했다. 메리츠화재는 지난해 말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리크루팅을 통해 매월 1000명 정도의 설계사가 유입되고 있다.
삼성화재의 올해 6월 말 설계사 수는 1만8470명으로 전년 동기(1만9193명)보다 3.8%(723명) 감소했다. 업계 2위인 현대해상도 1만249명에서 1만275명으로 0.3%(26명) 늘어나는 데 그쳤다. DB손해보험은 1만3571명에서 1만4603명으로 7.6%(1032명) 늘었으며, KB손해보험은 8448명에서 8230명으로 2.6%(218명) 줄었다.
그러면서 “설계사는 움직이는 영업매장으로 어느 조직이나 리크루팅에 힘쓰고 있다”며 “수수료 체계를 단순하게 바꿨고 설계사들의 의견을 반영해 문제점들을 개선했다. 또 원래 정규직이 관리직을 맡는데 설계사도 일을 열심히 하면 지점장도 되고 본부장도 될 수 있도록 길을 열어준 게 입소문을 타 최근에 유입이 많아진 데에 영향을 준것 같다”고 설명했다.
메리츠화재는 2016년 12월 사업가형 지점장제를 도입해 각 지점장에게 지점 운영에 관한 전권을 모두 넘겼다. 사업가형 지점장제는 경쟁력 있는 영업관리자 인력을 확보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로 회사 내 정규직 지점장을 개인사업자로 전환해 영업 실적에 따라 성과급을 지급한다.
그 결과 올해 상반기 기준 메리츠화재의 장기인보험 초회보험료는 약 780억 원으로 796억 원을 기록한 삼성화재를 턱밑까지 추격하고 있다. 인보험 시장점유율 비중 또한 2014년 13.8%에서 지난해 말 21.9%까지 올랐다.
메리츠화재의 영업 행보에 대해 업계에서는 보험사 간 출혈 경쟁으로 이어져 설계사에게 많은 수수료를 지급하게 되면 사업비 증가로 보험료가 인상돼 소비자가 피해를 보게 될 수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이 같은 우려에 대해 메리츠화재 관계자는 “업계에서 우려해왔던 유지율, 손해율 등도 안정적인 수치를 유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보라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lbr0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