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코로나19에 심화된 자산 양극화, “고소득자는 대출로 자산 불려”

공유
0

코로나19에 심화된 자산 양극화, “고소득자는 대출로 자산 불려”

최근 4년간 저소득자의 소득 증가율 16.4%…고소득자(5%) 상회
4년간 고소득자 은행권 대출 13% 증가…자산 투자에 활용
고금리 대출 이용하는 저소득자…생활자금 등에 이용하며 악순환

서울의 한 시중은행에 부착돼 있는 대출 안내 모습. [자료=뉴시스]이미지 확대보기
서울의 한 시중은행에 부착돼 있는 대출 안내 모습. [자료=뉴시스]
최근 저소득자와 고소득자 간 소득격차가 좁혀졌음에도, 자산의 양극화 현상은 더욱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고소득자가 낮은 금리의 은행권 대출을 활용해 자산을 불린 반면, 저소득자의 은행권 대출 이용은 오히려 축소되며 상대적 고금리 대출 비중이 늘어난 영향이다.

특히 코로나19 등의 여파에도 고소득자의 대출이 투자로 이어진 반면, 저소득자의 자금이용은 생계자금 등으로 한정되는 등 가계부채 질적구조의 격차가 심화됐다는 분석이다.
2일 금융경제연구소에 따르면 지난 2017년부터 2020년까지 소득 1분위(하위 20%)의 연 가처분소득은 867만 원에서 1009만 원으로 16.38%(142만 원) 증가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소득 5분위(상위20%)의 가처분소득은 1억339만 원에서 1억855만 원으로 4.99%(516만 원) 증가하는 데 그쳤다. 저소득자와 고소득자의 단순 소득격차는 벌어졌지만, 성장률로는 저소득자의 소득 증가세가 오히려 더 높았던 셈이다.

최근 4년간 소득분위별 평균 대비 자산 격차(단위 : 만원) [자료=통계청, 금융경제연구소]
최근 4년간 소득분위별 평균 대비 자산 격차(단위 : 만원) [자료=통계청, 금융경제연구소]

그럼에도 자산규모 차이는 더욱 벌어졌다. 2017년부터 2020년까지 소득 1분위의 부채 포함 자산규모는 1억2420만 원에서 1억3629만 원으로 9.73%(1209만 원) 증가하는 데 그쳤다. 반면, 5분위의 자산규모는 8억3094만 원에서 9억8054억 원으로 18%(1억4960만 원)나 급증했다.

이런 자산 격차는 소득 증가세가 줄었음에도, 부채가 증가하며 자산규모가 확대됐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특히 대출 등 금융부채의 증가세가 부각되는데, 4년간 소득 1분위의 금융자산 대비 금융부채 비율은 36%에서 40.2%로 4.2%포인트 상승했다. 반면 5분위는 49.7%에서 56.7%로 7%포인트나 증가했다.

실제로 한국은행의 가계 신용대출 현황을 살펴보면 업권별 가계신용대출은 은행에서 고신용자 대출이 84%를 차지하고 있다. 반면 비은행 금융기관은 중신용자 대출이 56.9%로 과반 이상을 차지했다.

최근 4년간 신용도별 가계신용대출 및 1인당 신용대출액 [자료=한국은행]이미지 확대보기
최근 4년간 신용도별 가계신용대출 및 1인당 신용대출액 [자료=한국은행]
또한 2017년부터 2021년 1분기까지 은행에서 고신용자 대출은 연평균 13.3% 가량 증가했는데, 이는 상당 부분이 자산 투자에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반면 저신용자의 은행 대출은 같은 기간 3.7% 감소했다. 이로 인해 중저신용자는 15% 내외의 높은 금리를 적용받고 있으며, 이에 저신용자의 자금이용은 극히 제한되는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다.

이밖에 은행의 디지털 전환 및 비대면 서비스 증가로 영업점 축소화가 진행됨에 따라 지역민 및 금융소외계층의 금융서비스 불평등도 문제점으로 꼽힌다. 특히 상대적으로 디지털 환경에 낯선 고령자, 장애인 등을 중심으로 디지털 소외현상이 가속화되면서 이들의 온라인 금융거래 이용이 축소되고 있는 상태다.

이에 대해 강다연 금융경제연구소 연구위원은 “디지털 금융환경 변화로 고객 접점 변화 및 편의성 등의 혜택 이면에는 소득 및 자산 격차의 심화, 고신용자 중심의 대출 시장구조와 같은 양극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며 “또한 접근성 차이로 인한 금융서비스 불평등, 디지털 금융 소외 등 구조적으로 해결해 나가야 할 과제들이 산적해있다”고 진단했다.


신민호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ho634@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