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차기 우리은행장에 조병규 우리금융캐피탈 대표 내정

글로벌이코노믹

차기 우리은행장에 조병규 우리금융캐피탈 대표 내정

64일 간의 '은행장 오디션' 대장정 종료
7월 3일 주총에서 은행장으로 공식 선임
조병규 차기 우리은행장 내정자. 사진=우리금융그룹이미지 확대보기
조병규 차기 우리은행장 내정자. 사진=우리금융그룹
임종룡 회장 체제에서 우리금융그룹의 핵심 자회사인 우리은행을 이끌게 될 차기 수장으로 조병규 현 우리금융캐피탈 대표가 내정됐다.

우리금융은 26일 자회사 대표이사 후보추천위원회(자추위)를 열고 우리은행장 최종 후보로 조 대표를 추천했다고 밝혔다. 조 후보는 7월 3일로 예정된 주주총회에서 정식 선임되면 공식 업무를 개시한다.

'지주는 전략, 계열사는 영업'을 중시한다는 그룹 경영방침에 따라 차기 은행장 최우선 선임기준을 '영업력'에 뒀다는 게 자추위의 설명이다. 자추위는 조 후보가 타 후보 대비 탁월한 영업능력을 갖추고 있다고 평가했다. 특히 기업영업 경험과 비전을 높이 평가했다는 후문이다.

1965년생인 조 후보는 관악고와 경희대를 졸업하고 우리은행의 전신인 상업은행에 입행해 본점기업영업본부 기업지점장, 대기업심사부장, 강북영업본부장, 기업그룹 집행부행장 등 주로 기업영업 부문에서 경험을 쌓았다.
실제 조 후보는 지점장 초임지였던 상일역지점을 1등 점포로 만들었고, 본점 기업영업본부 기업지점장으로 근무할 당시 전 은행 KPI(성과평가기준) 1위를 수상하기도 했다.

아울러 자추위는 조 후보의 협업 마인드에 대해서도 높은 점수를 매겼다. 그동안 우리은행이 국민들의 눈높이에 미치지 못하는 기업문화가 있었는데, 조 후보가 직원들의 의견을 경청하고 중재안을 함께 도출하는 새로운 조직문화를 이끌어낼 수 있는 적임자로 평가했다.

한일은행과 상업은행의 합병으로 탄생한 우리은행은 그동안 출신별로 번갈아 가면서 은행장 등 요직을 맡아왔다.이원덕 현 행장은 한일은행 출신이란 이유로 차기 은행장은 상업은행 출신이 될 것이라는 예상이 많았다. 결과적으로 조 후보가 차기 행장으로 내정되면서 상업·한일은행 간 돌아가면서 은행장을 맡던 관례는 지켜진 셈이다.

하지만 우리금융 내부에서는 고질적인 병폐인 상업·한일은행 출신 간의 계파갈등을 끝내고 화학적 결합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이어지고이 있다. 이 때문에 상업은행 출신이면서 온건한 소통성향이 강점인 조 후보를 적임자로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실제 심층면접을 진행했던 외부전문가들도 조 후보자에 대해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는 중도성향의 포용력 있는 리더십을 주목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조 후보는 “우리은행의 기업금융 명가(名家) 부활을 위해 혼신의 힘을 쏟겠다"면서 "임종룡 회장과 함께 새로운 기업문화를 만드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우리은행장에 내정된 소감을 밝혔다.


정성화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sh122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