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0일 금융권에 따르면 대구은행은 당초 연내 시중은행 전환을 목표로 이달 중으로 인가를 신청할 계획이었으나 신청 시기를 10월 이후로 미루기로 했다. 대구은행의 불법계좌 개설과 관련한 금감원의 검사가 아직 진행 중이라서다.
사업 계획과 채널 전략, 사명 변경 등의 절차에서도 시일이 좀 더 필요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대구은행에서는 지난해 직원 수십명이 고객 동의 없이 증권계좌 1000여개를 무단으로 개설해 논란이 빚어진 바 있다.
금감원은 지난 8월 9일 대구은행에 대한 긴급 검사에 착수했다. 문제는 통상적으로 검사가 진행되는 기간이 1~2주에 그치지만 현재 2달 가까이 진행되고 있다는 점이다.
금감원은 “여러 직원이 여러 영업점에서 증권계좌를 개설했기 때문에 확인할 것들이 많아 검사에 시간이 오래 걸리고 있다”며 “해당 업무에 대한 내부통제와 함께 전반적인 시스템에 대해 살펴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금융위원회 역시 인가 방식을 어떻게 진행할지 결정하지 못한 상태다. 대구은행은 이미 은행업을 영위하고 있어 예비인가를 거치지 않고 시중은행 본인가를 신청하는 방안 등이 검토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위 관계자는 “아직 인가 방식 자체도 정해지지 않은 상태”라며 “사업계획 등이 준비가 잘 돼 있다면 예상보다 빨리 과정이 진행될 수 있지만 인가 시점에 대해서는 현재로서 말하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한편, 금융권에서는 금감원 검사 결과에 따라 대구은행의 시중은행 전환 작업이 크게 밀릴 수 있다고 전망하고 있다.
손규미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bal47@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