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IMF 트라우마로 지갑 닫은 한국인…한은 "실업 경험, 소비 위축"

공유
0

IMF 트라우마로 지갑 닫은 한국인…한은 "실업 경험, 소비 위축"

가계소비 증가율 20.3%→7.1%→3.5%
과거 경제 충격이 씀씀이 줄이는 '상흔 소비' 발생

한국은행이 30일 발표한 '실업 경험이 가계소비에 미치는 장기 효과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실질 가계소비 연평균 증가율은 외환위기 이전(1971~1997년) 20.3%에서 외환위기 직후(1998~2008년) 7.1%까지 둔화했다. 사진은 30일 서울의 한 치킨 등 판매 식당 입간판 모습. 사진=뉴시스이미지 확대보기
한국은행이 30일 발표한 '실업 경험이 가계소비에 미치는 장기 효과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실질 가계소비 연평균 증가율은 외환위기 이전(1971~1997년) 20.3%에서 외환위기 직후(1998~2008년) 7.1%까지 둔화했다. 사진은 30일 서울의 한 치킨 등 판매 식당 입간판 모습. 사진=뉴시스


1997년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트라우마로 27년이 지난 현재까지도 가계소비가 과거 수준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당시 개인의 실업은 물론 국가 단위에서 실업률이 치솟는 경험을 하면서 비관적인 소득전망이 가계소비를 위축시켰다는 것이다.

한국은행이 30일 발표한 '실업 경험이 가계소비에 미치는 장기 효과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실질 가계소비 연평균 증가율은 외환위기 이전(1971~1997년) 20.3%에서 외환위기 직후(1998~2008년) 7.1%까지 둔화했다. 이후 2008년 금융위기를 거치면서 2009년부터 20021년까지는 연평균 소비가 3.5% 증가하는 데 그쳤다.

최영준 한은 경제연구원 미시제도연구실 연구위원은 "우리나라의 가계소비는 1997년 외환위기를 거치면서 이전 추세를 하회한 후 장기간 원래 추세를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면서 "외환위기 충격이 경험을 통해 소비에 장기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한은이 1996∼2021년 한국노동패널·경제활동인구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과거 실업 경험이 가계소비에 유의미하게 부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확인됐다.

여기에서 실업 경험은 개인의 실제 실업 상태는 물론 국가 단위에서 실업률이 치솟는 경험까지 포함하는 것으로, 실업 경험에 따른 소비자의 미래에 대한 비관적인 소득전망은 중장기 가계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는 셈이다.

아울러 과거 실업 경험은 특정 재화의 수요감소를 통해 가계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됐다.
재화별로 가계소비를 살펴보면 전자제품 등 내구재는 1997년 외환위기 이후에도 추세가 둔화되지 않았다. 이는 1970년대 이후 경제성장과 함께 빠른 속도로 증가한 내구재가 외환위기 이후에도 스마트폰 등과 같은 IT 제품의 성장세에 힘입어 견조한 증가세를 보인 데 따른 것이다. 의복 등 준내구재는 외환위기 전후 추세가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다만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는 외환위기 이후 이전에 비해 크게 둔화된 후 회복되지 않고 있는 모습이다.

최 연구위원은 "먹고 입는 등 기초재는 최소한의 수준에서만 유지되고 여행, 외식, 여가 등 선택재 소비도 위축되는 등 비내구재가 꺾이면서 회복되지 못했다"고 말했다.


정성화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sh122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