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부동산 침체에 온투업 연체율 치솟아… 부실 우려

글로벌이코노믹

부동산 침체에 온투업 연체율 치솟아… 부실 우려


고금리와 부동산시장 부진이 장기화되면서 온라인투자연계금융업 연체율이 치솟아 금융당국이 대응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사진은 서울시내 아파트 단지. 사진=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고금리와 부동산시장 부진이 장기화되면서 온라인투자연계금융업 연체율이 치솟아 금융당국이 대응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사진은 서울시내 아파트 단지. 사진=연합뉴스


고금리와 부동산시장 부진이 길어지면서 온라인투자연계금융업 연체율이 8.4%로 치솟고 있다. 부동산 담보 치가 하락하면서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이 상승하는 것이 주요 요인으로 꼽히고 있다. 온투업체 11곳은 연체율이 15%를 넘어서 부담이 되고 있다.

금감원은 이들을 대상으로 연체율 관리계획, 연체채권 관리현황, 연체채권 감축현황 등 자료를 제출받으며 대응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15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오기형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3년말 기준 온투업체 53곳 연체율은 8.4%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동기 대비 3.7%포인트 상승한 것이다.

부동산시장이 얼어붙으면서 온투업 주택담보대출이 부실화되면서 연체율이 상승하는 것이다.

부동산 담보가치가 하락하면서 온투업 주담대 연체율은 지난해말 10.2%까지 상승해 전년말 대비 5.7%p 높아졌다.

온투업 연계대출 취급 총액 1조1013억원(지난해 말 기준) 중 주담대가 5944억원으로 가장 비중이 크다.

자산가치가 낮은 주택의 경우 부동산 하락기에 먼저 타격을 받으면서 주담대도 부실해 진 것으로 풀이된다.

주담대 연체율이 상승한 것이 온투업 전체 연체율을 끌어 올리는 역할을 했다.

온투업 비주택담보대출도 급상승하고 있다.

온투업 비주택담보대출은 지난해 말 772억원으로 전체 연계대출 취급액의 7%를 차지하고 있다. 연체율은 2022년말 10.7%에서 2023년말 32.8%로 22.1%p나 치솟았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도 심화되고 있다.

작년 말 부동산 PF 대출금액은 390억원으로 3.5%를 차지하고 있다. 연체율은 같은 기간 2.0%에서 20.1%로 18.1%p나 올랐다.

지난해 말 기준 연체율이 15%를 넘는 온투업체는 총 11곳에 달해 우려스럽다.

금감원은 연체율이 15%를 초과한 업체의 연체율 관리계획을 점검하고 있다. 이들 업체에 연체율 관리계획, 연체채권 관리현황, 연체채권 감축현황 등과 관련한 자료를 제출받고 있다.


임광복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ac@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