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구멍난 노후②] 금융사 4050 자산가 타깃…‘시니어 전문가’ 태부족

글로벌이코노믹

금융

공유
0

[구멍난 노후②] 금융사 4050 자산가 타깃…‘시니어 전문가’ 태부족

은퇴 전후 ‘프리시니어’, “경제적 자립 됐다” 응답 고작 10%
은퇴 이후 ‘소득불안’ 불구 “어떻게 되겠지” 인식 대부분
자산배분·인출 전략 고려한 시니어 특화 ‘WM서비스’ 부재

은퇴족을 대상으로 한 전문적인 금융서비스가 부재해 시니어 특화 브랜드를 구축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사진=본사DB이미지 확대보기
은퇴족을 대상으로 한 전문적인 금융서비스가 부재해 시니어 특화 브랜드를 구축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사진=본사DB
내년부터 앞으로 10년간 순차적으로 ‘1·2세대 베이비부머’(1955년부터 1974년 출생자)들의 은퇴가 이뤄진다. 퇴직 이후인 2035년에는 60세 이상 인구수가 약 1955만 명으로 증가해 30대부터 50대 인구수를 합한 규모로 커진다. 단순히 인구수만 보면 60세 이상의 고령층 시장과 경제활동인구 시장이 비슷해지는 셈이다. 길어진 수명만큼 고령층에 대한 ‘자산관리’ 수요도 높아지고 있지만,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금융회사 서비스 대부분이 경제활동이 활발한 30대부터 50대까지에 초점이 맞춰져 있고, 60대 이상의 경우 부동산 비중이 높아 운용할 수 있는 금융자산 비중도 낮기 때문이다. 해외 주요국의 경우 단순히 자산관리 시장뿐만 아니라 법률·건강·복지 등 다방면에서 시니어 전문가가 관리해주고 있다. 길어진 수명에 따라 고령층 역시 자산관리 수요가 높아지는 만큼, 특화된 시니어 브랜드 양성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10일 하나금융연구소에서 실시한 조사를 보면 50세에서 64세까지 은퇴를 전후한 일명 ‘프리시니어’에서 경제적 준비에 대한 긍정 응답은 10%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프리시니어 10명 중 8명은 노후 자금 마련을 위해 저축하지만, 이 중 4분의 3은 저축을 하면서도 여전히 경제적 준비가 불충분하다고 인식했다.

은퇴족들은 매월 고정 소득원을 확보하는 것이 노후 경제적 대비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응답했다. 그러나 소득 단절 후의 소득 수준을 예상하기는 어렵고, 총자산이 많은 경우에도 막연히 ‘어떻게 되겠지’라고 생각하는 노인들이 많았다. 특히 총자산 중 부동산이 70% 이상인 상황에서 자산 유동화 및 소득 예측은 쉽지 않고, 게다가 65세 이상은 노후에도 현 주거지를 유지한 뒤 상속할 의향이 높아 자산 인출을 계획하기가 더욱 어려웠다.
아직 고령자들은 개인연금(IRP)을 포함해 부동산 활용이 가능한 신탁, 주택연금 등에 대한 이해와 관심이 미흡한 편이다. 일시에 목돈을 예치하고 고정 소득을 확보하는 즉시연금이나 자산을 금융사에 위탁하고 수익과 상속을 동시에 준비하는 신탁의 활용은 5% 미만으로 소수일 뿐 아니라 노후를 대비한 가입 의향 상품군으로도 유의미하게 고려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 때문에 전문가들은 성공적인 인출 전략을 위해 시니어 전문가 양성이 시급하다고 지적한다. 미국과 영국에선 고령층을 대상으로 한 특화 사업자와 고령층 특화 전문인력이 있어 금융뿐만 아니라 여행, 법률, 부동산 중개 등 은퇴 이후 생애주기에 초점을 둔 세심한 금융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신한금융그룹과 미래에셋생명, 메트라이프생명 등에서 노인요양, 실버타운, 신탁 등 개별 니즈별로 고령자 관련 사업이 진행되고는 있지만, 주요국만큼 서비스가 발달해 있진 않다. 시중은행은 노후 관련 재무·비재무 서비스를 다양화하는 추세지만 시니어 중심, 또는 연금·신탁 등 개별 상품 위주인 점이 한계로 지목된다.

전문가들은 현재 노후 준비가 가장 시급한 프리시니어에 대한 종합적인 솔루션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단순히 자산을 만드는 개별 상품에 집중할 게 아니라 생애주기를 고려해 자산을 효율적으로 배분하고 인출 전략을 구축할 수 있는 통합 서비스가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윤선영 하나금융연구소 연구위원은 “통합 은퇴 브랜드를 활용해 기관의 신뢰도를 높이는 것도 고려할 만하다”면서 “은퇴 브랜드를 인지한 경우 해당 기관에 대한 신뢰는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2.4배 더 높아진다. 상품이나 서비스 중심의 개별 브랜드보다 노후 준비를 위한 통합 브랜드하에서 재무·비재무 영역의 다양한 관리가 제공된다면 신뢰도가 높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홍석경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hong@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