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인뱅 3사, ‘중·저신용 대출 비중’ 목표치 30% 일제히 넘겨

글로벌이코노믹

인뱅 3사, ‘중·저신용 대출 비중’ 목표치 30% 일제히 넘겨

토스뱅크 34.7%, 케이뱅크 34.1%, 카카오뱅크 32.2% 순
인터넷전문은행 3사(카카오·토스·케이뱅크) 지난해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 목표치 30%를 모두 넘겼다. 사진=각 사이미지 확대보기
인터넷전문은행 3사(카카오·토스·케이뱅크) 지난해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 목표치 30%를 모두 넘겼다. 사진=각 사
인터넷전문은행 3사(카카오·토스·케이뱅크) 지난해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 목표치 30%를 모두 넘겼다.

28일 각 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연간 중·저신용자 신용대출 비중은 토스뱅크 34.7%, 케이뱅크 34.1%, 카카오뱅크 32.2% 순이었다.

카카오뱅크는 지난해 2조5000억원 이상의 중저신용 대출을 공급해 규모가 가장 컸다. 출범 이후 공급한 대출 규모는 누적 13조원이다.

카카오뱅크는 지난해 11월부터 중·저신용자를 위한 신용대출 상품의 금리를 평균 연 0.3%p 인하하는 특별 대출 프로모션을 진행 중이다.
토스뱅크의 지난해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은 34.7%(1조3600억원)로 3사 중 가장 높았다. 출범 이후 누적액은 지난해 말까지 총 31만2000명 대상 8조7000억원이다.

토스뱅크 관계자는 “인뱅 중 유일하게 '매달 내는 돈 낮추기', '매달 이자만 갚기' 등으로 중저신용자 고객의 상환 부담을 낮추고 은행의 건전성도 확보했다”고 말했다.

케이뱅크는 지난해 연간 기준 중·저신용자 신용대출 비중 34.1%를 달성해 전년 말(29.1%) 대비 5.00%포인트(p) 증가했다. 지난해 연간 신규 공급한 중·저신용자 신용대출 규모는 1조1658억원, 출범 이후 지난해까지 누적 공급액은 7조1658억원이다.

케이뱅크는 지역 소상공인을 위한 정책자금대출 상품인 '사장님 보증서 대출'을 출시하는 등 금융 지원을 계속하고 있다.


이민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mj@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