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롯데카드 해킹사태] 금융당국 “징벌적 과징금 도입… 최대수준 엄정제재”

글로벌이코노믹

[롯데카드 해킹사태] 금융당국 “징벌적 과징금 도입… 최대수준 엄정제재”

"허술한 정보보안 일벌백계"
권대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4일 서울 영등포구 소공연 대회의실에서 열린 소상공인 금융지원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미지 확대보기
권대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4일 서울 영등포구 소공연 대회의실에서 열린 소상공인 금융지원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금융당국이 롯데카드 해킹사태와 관련해 “금융감독원 검사를 통한 위규 사항을 낱낱이 파악해 엄정한 조치를 취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은 18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조좌진 롯데카드 대표 등과 함께 긴급대책회의를 열고 이같이 밝혔다.

금융당국은 재발 방지를 위해 위규사항이 발견되면 즉시 보완을 요구하고 제재조치에 돌입할 방침이다. 당국 측은 “허술한 개인정보·정보보안 관리 사항에 대해서는 최대 수준의 엄정한 제재가 이뤄지도록 할 방침”이라고 했다.

금융당국은 이어 “금융사의 사전적 경각심 강화와 사후적 일벌백계 차원에서 중대한 보안사고 발생 시 일반적 과징금 수준을 뛰어넘는 징벌적 과징금을 도입하겠다”며 “금융사가 정부의 보완수준 개선요구를 제대로 이행하지 않은 경우 지속적인 이행강제금을 부과하는 등 금융보안 관련 긴장감 있는 관리가 이뤄지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권대영 금융위 부위원장은 “보안투자를 비용으로 가외업무로 인식하는 안이한 태도가 심각한 사태를 초래할 수 있는 만큼 최고경영자 책임하에 전산 시스템 및 정보보호체계 전반을 전면 점검해달라고 당부했다.

롯데카드는 이날 회원정보 유출 피해 규모가 297만명이라고 밝혔다. 유출된 정보 용량은 200기가바이트(GB)로, 당초 금융당국에 해킹 사실을 신고하면서 추산한 데이터양(1.7GB)의 100배 수준이다.

고객 269만명은 연계정보(CI)와 가상결제코드가 유출된 것으로 파악됐다. 다만 이 정보로는 카드 부정 사용이 불가능하다는 게 롯데카드 측의 설명이다.

나머지 28만명은 카드번호, 유효기간, CVC번호가 유출돼 부정사용 가능성이 있다. 다만 현재까지 부정사용 사례는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민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mj@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