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2024년 연간 기업경영분석 결과'
이미지 확대보기한국은행이 29일 발표한 '2024년 연간 기업경영분석 결과'에 따르면 이자보상비율 100% 미만 기업 비율은 42.8%로 집계됐다. 이는 2022년과 2023년 기록한 직전 최고치인 42.3%를 웃도는 사상 최고치다.
이자보상비율은 영업이익을 이자비용으로 나눈 값으로 영업이익 대비 이자비용 부담을 가리킨다. 이 비율이 100%가 안 된다는 것은 영업이익으로 이자도 감당하지 못한다는 뜻이다. 이자보상비율이 100%를 밑도는 상황이 1년간 나타나면 '일시적 한계기업', 3년간 이어지면 '한계기업' 또는 '좀비기업'으로 분류된다.
이자보상비율 100% 미만 기업 비중은 2019년(36.6%)에서 2020년(40.9%)에 4.3%포인트(P) 급등한 뒤 지난해까지 줄곧 40%대를 유지하고 있다.
반면 이자보상비율 500% 이상 기업 비율은 2021년 38.2%에서 점차 줄어 지난해 29.4%까지 추락했다.
영업적자에 이른 이자보상비율이 0% 미만인 기업 비율은 33.9%로 전년(33.7%)보다 소폭 올랐다.
정성화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sh1220@g-enews.com






















![[특징주] SK하이닉스, 시가총액 400조 '돌파'…1년만에 3배 이상...](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setimgmake.php?w=80&h=60&m=1&simg=2025102915412201833edf69f862c11823510243.jpg)
![[기재위 국감] 이창용 "주 4.5일제 장단점 충분히 논의돼야"](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setimgmake.php?w=80&h=60&m=1&simg=2025102913484806385bbed569d6812813480118.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