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보기15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정부의 부동산 규제와 코스피 강세 등 시장 환경 변화로 가계 자금 흐름이 크게 요동치고 있다. 마이너스통장(신용한도대출)으로 자금 수요가 몰리는 동시에, 은행들의 수신 금리 인상 영향으로 예금 규모도 급격히 불어났다.
KB국민·신한·우리·하나·NH농협 등 5대 시중은행 금융권에 따르면 가계대출 잔액은 13일 기준 767조5844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달 말(766조6219억원) 대비 9625억원 증가했다.
전세대출·집단대출을 포함한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610조6764억원으로, 지난달 말(610조6461억원) 대비 293억원 증가에 그쳤다. 정부의 10·15 부동산 규제로 주담대 한도가 축소된 영향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특히 마이너스통장 잔액은 39조4672억원 → 40조5955억원으로 1조1283억원 급증했다.
부동산 규제 강화로 주담대 여력이 줄어든 데다, 최근 국내 증시 상승세가 이어지면서 자금 조달 수요가 '마이너스통장'으로 몰린 것으로 분석된다.
은행 예금도 빠르게 늘었다.
5대 은행의 정기예금 잔액은 975조577억원으로 나타났으며, 지난달 말(965조5689억원)보다 9조4888억원 증가했다. 최근 은행권이 금융채 금리 상승을 반영해 수신상품 금리를 연이어 올린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반면 수시입출금식 예금(MMDA)을 포함한 요구불예금은 644조4464억원으로 집계돼, 지난달 말(647조8564억원)보다 3조4100억원 감소했다.
단기성 예금에서 금리 메리트를 좇아 정기예금으로 자금 이동이 일어난 것으로 풀이된다.
장기영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kyjangmon@g-enews.com

















![[뉴욕증시] 혼조세 속 나스닥 지수만 상승](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setimgmake.php?w=270&h=173&m=1&simg=2025111506411400710c35228d2f5175193150103.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