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기업분석] 한솔씨앤피, 해외매출 비중이 높아 고객사 중저가 스마트폰 생산 증가 수혜… 2017년 영업익 84억 전망

글로벌이코노믹

[기업분석] 한솔씨앤피, 해외매출 비중이 높아 고객사 중저가 스마트폰 생산 증가 수혜… 2017년 영업익 84억 전망

이미지 확대보기
한솔씨앤피는 도료생산업체로 올해 3분기 기준 지역별 매출 비중이 베트남 60%, 중국 22%, 한국 18%로 해외 매출 비중이 높은 상황이다.

한솔씨앤피는 2017년 인도 공장의 본격 가동과 고객사 중저가 스마트폰 생산 증가에 따른 매출 확대 등으로 올해에 비해 매출 증가가 예상된다.

신한금융투자 하준두 연구원은 한솔씨앤피의 올해 연결기준 매출액이 780억원(전년비 +33.6%), 영업이익 80억원(전년비 +95.1%), 당기순이익 68억원(전년비 +126.7%)에 이를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어 내년에는 연결기준 매출액 850억원(전년비 +9.0%), 영업이익 84억원(전년비 +5.0%), 당기순이익 72억원(전년비 +5.9%)에 이를 전망이다.
하 연구원은 “도료 특성상스마트폰 제조 공장 인근에서 생산이 필수적이기 때문에 올 하반기부터 인도공장 가동을 시작했다”며 “최대 고객사의 인도 시장 점유율은 20% 수준으로 여전히 1위 수성 중”이라고 분석했다.

하 연구원은 “한솔씨앤피가 도료를 납품하고 있는 고객사의 중저가 스마트폰 비중은 약 60% 수준으로 추정된다”며 “중저가 모델은 인도네시아, 인도 등 아시아 신흥국을 주요 시장으로 삼고 있기 때문에 생산량은 늘어날 수밖에 없는 구조”라고 판단했다.

한솔씨앤피의 올해 9월 말 현재 부채비율은 40% 미만으로 안정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하 연구원은 한솔씨앤피의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 해외 법인 투자가 끝났기 때문에 당분간 추가적인 투자 관련 비용 발생 가능성이 낮은 상황이라고 보고 있다.

하 연구원은 “한솔씨앤피가 2016년 본격적인 수익성 개선이 예상되는 가운데 2017년부터 주요 고객사의 중저가 스마트폰 생산량이 증가할 것”이라며 “인도 공장의 본격적인 가동으로 실적 증가가 예상되고 지속적인 주가 하락으로 밸류에이션 부담도 적은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한솔씨앤피의 주가는 28일 종가 1만4500원으로 올해 4월 21일의 고점 2만8000원에 비해 48.2% 하락한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다.

화면캡처 : 키움증권이미지 확대보기
화면캡처 : 키움증권

김대성 경제연구소 부소장 kim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