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매출액 연결기준 3773억~3880억원 전망… 영업익도 300억원 안팍으로
파인텍이 세광테크와의 M&A(인수합병) 시너지 효과로 실적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전망됐다.파인텍은 지난해 8월 세광테크 지분 87.75%(713만350주)를 232억원에 인수한데 이어 잔여주식 지분 12.25%(99만5516주)의 인수를 완료했다.
파인텍은 세광테크의 잔여지분 인수에 따라 1대 0의 비율로 합병이 가능하게 됐다.
파인텍은 LCD 기반의 디스플레이 전문기업으로 삼성전자, BOE 등 글로벌 메이저 업체에 제품을 납품하고 있다.
증권가에서는 파인텍의 세광테크 합병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분위기다.
하나금융투자 이정기 연구원은 “파인텍의 기존 사업인 디스플레이 사업부의 실적 회복이 기대된다”고 평가했다.
이 연구원은 파인텍의 올해 실적이 매출액 3773억원(전년비 +147.1%), 영업이익 323억원(흑자전환)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는 본업인 LCD 업황 개선과 OLED(아몰레드) 장비 업체인 세광테크 인수에 따른 OLED 전방 산업투자 수혜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파인텍의 디스플레이 사업부는 국내 주요 핸드셋 제조업체와 LCD업황의 의존도가 높은 사업부다.
2015년 국내 주요 핸드셋 제조업체에서 OLED를 채택한 보급형 핸드셋 라인을 출시함에 따라 파인텍 디스플레이 사업부는 부진했다.
그러나 2016년 하반기 미국 및 중국 핸드셋 제조업체들의 OLED를 활용한 핸드셋 출시 계획과 국내 주요 디스플레이 업체의 LCD에서 OLED로 생산시설 일부를 전환함에 따라 OLED 패널 수급에 불균형이 발생했다.
이 연구원은 “국내 주요 핸드셋 제조사가 보급형 핸드셋 라인에 다시 LCD를 채택했다”면서 “이에 따라 파인텍 디스플레이 사업부의 회복이 진행되는 중”이라고 진단했다.
파인텍은 지난해 9월 말 현재 연결기준 매출액 655억원, 영업이익 -104억원, 당기순이익 -133억원을 기록했다.
세광테크의 실적은 지난해 별도기준 매출액 151억원, 영업이익 -40억원, 당기순이익 -38억원으로 나타났다.
파인텍은 OLED 장비 전문 업체인 세광테크 인수를 통해 OLED장비 시장에 진출했다.
세광테크의 주요 장비는 Display Module(디스플레이 본딩) 장비로 2016년 3분기 기준 세광테크 전체 매출의 86%를 차지하고 있다.
이 연구원은 세광테크의 Display Module 장비가 텍타임 짧아 생산성이 높고 Flexible(유연함)과 Rigid(휘지 않음)간 기종 변경 없이 1개 라인으로 운용이 가능한 장점을 갖고 있다고 분석했다.
세광테크는 또 과거 주요 고객사 중소형 OLED라인에 주요 벤더로 본딩 장비를 납품한 실적을 갖고 있다.
SK증권 이지훈 연구원은 파인텍이 세광테크를 성장동력으로 내세워 올해 실적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 연구원은 “지난해 8월 인수한 세광테크가 성장의 핵심으로 떠오르고 있다”며 “OLED 투자확대에 따라 가파른 실적개선이 가능하다”고 진단했다.
이 연구원은 파인텍의 올해 연결기준 매출액이 3880억원(전년비 +157.8%), 영업이익 275억원(흑자전환)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 연구원은 “주력사업인 BLU(백라이트유닛) 사업이 수급 변화로 지난해 매출액이 750억~800억원에 그쳤지만 올해는 1450억원까지 늘어날 것”이라며 “In-cell(내장형) 방식의 모듈 제품을 납품하면서 신규거래처도 늘어나고 있다”고 덧붙였다.
파인텍은 세광테크와의 합병으로 LCD에 이어 아몰레드까지 디스플레이 전 영역으로 사업영역을 확대하며 디스플레이 전문기업으로서 역량을 강화했다.
강원일 파인텍 대표는 “기존 LCD 사업의 실적회복 및 아몰레드 사업의 연결실적 반영으로 본격적인 실적개선이 이뤄지고 있다”며 “세광테크와 합병을 통해 영업, 생산부문 등의 시너지 확대로 디스플레이 전문기업으로 도약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파인텍의 주가는 20일 종가 1만750원으로 2016년 6월 27일의 저점 4327원에 비해 148.4% 상승한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다.
이미지 확대보기김대성 경제연구소 부소장 kimds@





















![[일본증시] 닛케이평균, 반락...AI 관련주 중심으로 하락 압력 강...](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setimgmake.php?w=80&h=60&m=1&simg=20250331134303088270c8c1c064d591524497.jpg)
![[KRX 금현물] 금 시세 '껑충'...1.4% 올라 1g당 19만4680원 마감](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setimgmake.php?w=80&h=60&m=1&simg=2025110716132701988edf69f862c11823513184.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