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드타운화 차단과 자족경제 축을 위한 도시첨단산업단지 카드…GTX·지하철 확장, 도매시장 현대화와 연계
이미지 확대보기토평2지구, 베드타운에서 ‘도시첨단산업단지’로
박 전 시장이 제시한 토평2지구 해법은 도시지원시설용지 중심의 현재 구상을 도시첨단산업단지로 전환하는 것이다. 핵심 논리는 세 가지다. 첫째, 주거 위주의 개발은 통근 유발과 상권 분산을 초래해 세수 구조와 생활 SOC의 지속가능성을 약화시킨다. 둘째, 한강변 입지와 서울 동북권 경계라는 지리적 장점을 산업·관광·콘텐츠 집적과 연결해야 지역 내 고용과 소비가 선순환한다. 셋째, 수도권정비계획법 제7조 2항에서 허용하는 공업총량 조정·배분을 활용하면 인근 지자체의 유휴·과다 총량을 전략적으로 이전받는 시나리오가 가능하다.
실행을 위한 절차선은 비교적 명확하다. 우선 경기도와 국토부의 총량 조정 협의를 병행하면서, 산업단지 지정 타당성 조사와 교통·환경·재해영향성 검토를 앞당겨 착수해야 한다. 이어 LH가 보유한 토평2지구 개발 틀에서 산업용지 비중을 재조정하도록 사업계획 변경 협의를 개시하고, 광역교통개선대책과 산업유치 전략을 같은 테이블에서 묶어 인허가 패키지를 구성한다. 산업 기능은 K-콘텐츠 제작·후반·유통, MICE(호텔·컨벤션), 문화형 복합상업, 친환경 디지털 제조·연구 등으로 제시됐다. 이는 단순 지식산업센터 위주의 점형 집적이 아니라, 관광·숙박·전시와 연계한 선형 클러스터를 지향하는 모델이다.
재원과 거버넌스 측면에서는 공공·민간 혼합형 구조가 유력하다. 기반시설과 공공성 비중이 높은 구간은 공공이 선도하고, 수익성이 높은 앵커 시설은 민간투자 또는 리츠·펀드 조달을 결합하는 방식이다. 산업수요 창출을 위해서는 입주 업종 사전 수요조사와 인허가 신속처리 트랙, 세제·임대료 인센티브, 대학·연구기관과의 협력 협약이 병행돼야 한다. 주민 수용성은 교통혼잡 저감, 수변 접근성 유지, 생활편의시설 확충 등 체감형 보완책으로 확보하는 방안이 제시됐다.
광역철도와 산업전환의 동시 추진
박 전 시장은 산업전환 전략과 교통망 확충을 한 묶음으로 제시했다. GTX-B 갈매역 정차, 지하철 6호선 구리 연장, 8호선 수택역·토평역 신설, 경의중앙선 인창역 신설 등이 주요 과제다. 광역철도 정책은 단순 노선 유치가 아니라 산업단지 출퇴근 수요와 MICE·관광 수요를 반영한 수요 기반으로 설계되며, 차량기지·환승체계·보행연결 등 미시적 요소까지 포함한 패키지 협상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장기적으로 GTX-D·E 추가 축은 검토 옵션으로 남겨 둔다. 이러한 계획은 산업단지 지정, 총량 조정, 기반시설 분담금, 광역교통개선대책 등 상호 의존적 의제를 단일 협상 테이블로 통합해야 추진력이 생긴다는 판단에 근거한다.
이미지 확대보기도매시장 현대화와 도심 상권 재구성
구리농수산물도매시장은 이전이 아닌 현대화를 축으로 재편한다는 방향이다. 대형 저온물류, 스마트 경매, 체험·관광 콘텐츠를 결합한 복합 플랫폼을 도입하고, 지하철 8호선 구리역 출입구와 전통시장을 직접 연결해 돌다리 상권을 문화관광형으로 업그레이드한다는 전략이 제시됐다. 이는 토평2지구 산업·관광 축과 도시 내부 상권을 유기적으로 연결해 체류형 소비를 확대하려는 시도다. 환경사업소 부지는 K-콘텐츠 테마형 기능을 검토 대상으로 올려, 주간에는 전시·컨벤션, 야간에는 공연·미디어 파사드 등 시간대별 수요 전환을 유도하는 모델이 제안됐다.
리스크와 관리 포인트
산업단지 지정은 법적 총량과 환경규제, 교통용량, 재원조달, 주민수용성 등 다층 리스크를 내포한다. 이를 완화하려면 초기 단계부터 도·중앙정부, LH와의 3자 협의 구조를 상설화하고, 인허가·재정·교통·환경을 담당하는 실무 T/F를 두어 병렬 처리해야 한다. 총량 조정이 지연될 가능성에 대비해 단계적 산업용지 도입과 가변형 블록플랜을 마련하고, 교통은 광역철도 확정 전에도 BRT·간선버스 개편, 환승시설 선행 구축 등 단기 보완책을 병행하는 방식이 요구된다. 투자유치는 앵커 테넌트 선계약과 규제특례 인센티브 패키지로 초기 신뢰를 확보하는 전략이 제시됐다.
박 전 시장의 구상은 베드타운화 차단, 산업·관광·상업의 융합, 광역교통과 도심상권의 다핵 연계라는 세 축으로 요약된다. 행정의 연속성과 중앙정부 교섭능력을 전면에 내세운 만큼, 실제 성패는 총량 조정의 실현 가능성, LH 사업계획 변경의 속도, 광역철도 패키지의 재원 구조화에 달려 있다. 그는 구리시를 갈매·사노·구도심·토평으로 이어지는 단일 생활·경제권으로 재조정하겠다는 목표를 밝히며, 경기 동북권 거점화의 기초 체력을 토평2지구에서 확보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강영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av403870@g-enew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