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우리동네 미래발전 본다'…서울시, '2030 생활권계획' 완성

공유
3

'우리동네 미래발전 본다'…서울시, '2030 생활권계획' 완성

총 493개 목표, 1,126개 실천전략 수립

서울시 생활권계획 중심지체계 이미지 확대보기
서울시 생활권계획 중심지체계
서울시가 ‘우리동네 미래발전 지도’에 해당하는 '2030 서울생활권계획'을 4년 만에 최종 완성, 8일부터 본격 가동한다.

이를 토대로 서울시는 각 지역의 자족성을 강화하고 지역 간 균형발전을 유도하는 도시관리를 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시는 7일 "서울 전역을 5개 ‘권역’ 생활권으로 나누고, 각 권역을 116개 ‘지역’ 생활권(3~5개 행정동 단위)으로 세분화해 각각의 목표와 실천전략(총 493개 목표, 1,126개 실천전략)을 수립했다"고 밝혔다.

시에 따르면 주거, 산업‧일자리, 교통, 복지, 교육 등 시민의 일상생활과 밀접한 이슈에 대한 발전구상을 생활권별로 담아낸 국내 최초의 생활밀착형 도시계획으로 총 30권, 6천여 쪽이 이르는 분량이다.

5개 권역(도심권‧동북권‧서북권‧서남권‧동남권)과 116개 지역에 대한 생활권계획은 각 지역의 특성에 맞는 발전방안을 7개 이슈(①도시공간 ②산업‧일자리 ③주거정비 ④교통 ⑤환경‧안전 ⑥역사‧문화‧관광 ⑦복지‧교육)로 구성됐다.

또한, 생활권계획에는 서울 전역을 조사‧분석해 어린이집, 주차장, 도서관, 공원 등 각 권역‧지역별로 설치가 필요한 생활서비스시설을 11개 분야로 제시했다.

권역생활권은 각 자치구별로 서울시 평균 보급률보다 낮은 시설, 지역생활권은 3가지 조건시설을 각각 우선 확충이 필요한 대상으로 선정했다.

조건시설은 ▲ 지역주민이 필요하다고 요청하는 시설 ▲ 보행 10분 거리, 800m 이내 시설이 없는 경우 ▲ 서울시 평균보다 보급률이 낮은 시설 등이다.
이와 함께 시는 이번 생활권계획을 통해 '2030 서울플랜(서울도시기본계획)'에서 정한 중심지 체계(3도심-7광역-12지역-53지구)를 최종 완성하고, 중심지별 육성‧관리방안을 수립했다.

특히, 2030년까지 중심지 내에 상업지역 총 192만㎡를 새롭게 지정해 지역불균형 해소와 지역 활력의 촉매제로 삼는다는 계획이다.

시는 이번에 수립한 생활권계획의 방향과 내용이 향후 서울시의 모든 관련․하위 계획(법정‧행정‧도시관리)을 통해 실제 현장에서 적용될 수 있도록 각종 도시관리계획 수립 시 반영할 계획이다.

생활권계획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서울도시계획포털’ 홈페이지(http://urban.seoul.go.kr)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누구나 의견을 제시할 수도 있다.


라영철 기자 lycla@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