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불어민주당 설훈 최고위원은 1987년 대한항공(KAL) 858기 폭파 사건과 관련, 노무현 정부 당시 실시된 조사 때 전두환씨 세력의 힘이 작용해 진상 규명이 불발됐다면서 재조사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설 최고위원은 25일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 인터뷰에서 2007년 '국정원 과거사건 진실규명을 통한 발전위원회'의 조사에 대해 "이게 참 대단히 미진한 조사였다는 게 밝혀져 있지 않냐"며 "그래서 조사가 새로 돼야 된다"고 밝혔다.
1987년 11월29일 이라크 바그다드에서 출발한 KAL 858기는 승객과 승무원 115명을 태우고 서울로 향하던 중 인도양 상공에서 실종됐다.
이와 관련, 최근 KAL 858기로 추정되는 동체가 미얀마 안다만 해저에서 발견됐다는 보도가 나오면서 외교부는 미얀마 정부와 해당 동체를 조사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다.
설 최고위원은 "858기가 맞는다면 정부가 나서서 빨리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서 건져내는 게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2007년 진실규명위의 미얀마 해상에서의 동체 수색 시도가 불발됐던 데 대해서는 "그 당시만 하더라도 과거 정부로부터 영향력이 남아 있는 상태였다고 본다"며 "전두환·노태우 정권이 갖고 있는 여력이 있던 상태였기 때문에 여러 곳에서 그게 작용됐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 "(당시 진실규명위가) 김현희씨를 만나서 얘기를 듣는 게 중요한 문제였는데 이게 불발됐다"며 "이해가 안 되는 부분들인데 왜 그랬냐고 보면 추론인데 전두환 정권이 갖고 있던 파워가 작용되고 있었다고 봐야 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설 최고위원은 "(발견된 동체가) KAL 858기가 맞는다고 본다면 이것은 그냥 있을 수 없는 사안이다. 진실규명위 조사 자체가 미진했기 때문에 그 부분에 대한 정확하게 정리를 해내는 작업이 필요하다"며 "그래서 유족들이 갖고 있던 33년 한을 풀어주는 작업을 해야지 또 다시 이렇게 넘어가는 것은 국가가 할 일이 아니다"고 했다.
이정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bellykim@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