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합동참모본부는 9일 "어제 오후 10시께 우리 해군함정 간부 1명이 백령도 남방 해역에서 실종됐다"면서 "오늘 오전 10시께 사고 발생 인근 해상에서 사망한 채 발견되어 평택항으로 이송하고 있다"고 밝혔다.
윤영하급 고속함은 지난 2002년 발생한 제2차 연평해전에 전사한 고 윤영하 소령의 이름을 딴 유도탄 고속함으로 모두 18척이 취역했다. 제2차 연평해전에서는 북한군과 교전 과정에서 참수리급 고속정 1척이 침몰하고 장병 6명이 숨지자 해군은 2000년대 초부터 적 함정을 더 효과적으로 공격할 수 있는 성능을 향상시킨 함정을 개발했다.
대함전과 대공전, 전자전을 수행할 수 있는 윤영하급은 길이 63m, 너비 9m이며 최대 40명이 승선한다. 기준배수량은 450t이지만 만재배수량은 570t이다.
윤영하급 유도탄 고속함에는 구경 76mm와 40mm 함포를 탑재해 화력을 대폭 키웠다. 북한 경비정을 일격에 격침시킬 수 있는 펀치력을 갖췄다. 40mm 함포는 분당 최대 600여 발을 쏠 수 있어 적 함정 외에 항공기 요격에도 사용된다. 또 사거리가 150km를 넘는 국산 대함 미사일인 해성 4발을 탑재하고 있다. 여기에 12.7mm 중기관총도 있다.
레이더에 잘 탑지되지 않도록 선체를 최대한 단순화하고 선체 전체에 10도 정도의 경사각을 적용했다. 대유도탄 기만체계도 갖추고 있다.
또 워트제트 추진방식을 채택해 시속 40노트(시속 74km) 이상의 속도를 낼 수 있다.
박희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acklondon@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