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초점] 日 소프트뱅크·라인야후, 'AI 활용' 전면 의무화…"AI 후진국 오명 벗겠다" 정면돌파

글로벌이코노믹

[초점] 日 소프트뱅크·라인야후, 'AI 활용' 전면 의무화…"AI 후진국 오명 벗겠다" 정면돌파

라인야후, 검색·자료작성 등 AI 업무화…소프트뱅크 "직원 1명당 앱 100개 개발"
세계 평균 75%인데 日 이용률 32% 불과…"경쟁력 직결" 그룹 차원 노하우 축적
인공지능(AI)을 미래의 먹거리로 설정하고 전력을 투입하고 있는 소프트뱅크 손정의 회장. 일본의 대표 IT 기업인 소프트뱅크와 라인야후가 전 직원을 대상으로 AI 활용을 전면 의무화했다. 세계 평균에 크게 못 미치는 AI 이용률을 끌어올리고 미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정면 돌파로 풀이된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인공지능(AI)을 미래의 먹거리로 설정하고 전력을 투입하고 있는 소프트뱅크 손정의 회장. 일본의 대표 IT 기업인 소프트뱅크와 라인야후가 전 직원을 대상으로 AI 활용을 전면 의무화했다. 세계 평균에 크게 못 미치는 AI 이용률을 끌어올리고 미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정면 돌파로 풀이된다. 사진=로이터
일본 소프트뱅크 그룹이 라인야후와 소프트뱅크 등 핵심 계열사를 대상으로 전 직원의 인공지능(AI) 사용을 전면 의무화한다. 일본 닛케이는 지난 12일(현지시각) 이같이 보도하며, 이는 'AI 에이전트' 시대의 주도권 경쟁에서 앞서나가기 위한 선제적 조치라고 분석했다. 일본 대기업이 AI 사용을 전사적으로 의무화한 것은 극히 이례적인 일이다.

라인야후는 곧 모든 직원의 업무상 AI 활용을 의무화하는 내부 규정을 시행한다. 2023년 사내 업무 분석 결과 전체의 3분의 1을 차지했던 조사·검색, 자료 작성, 사내 회의 영역에 우선 적용한다. 앞으로 사내 문의 대응과 시장 분석은 원칙적으로 생성형 AI가 담당하며, 회의 전 AI를 통해 과거 회의록을 기반으로 의제를 정리하고 AI 회의록을 작성하는 것 또한 의무다.

이를 위해 미국 오픈AI의 '챗GPT' 법인용 버전을 포함한 3종의 AI를 적극 활용, 2027년까지 사내 업무 생산성을 2024년 대비 두 배로 끌어올린다는 목표다. 정형화된 업무 시간을 줄여 확보한 역량은 대면 영업이나 핵심 AI 기술 개발 등 고도의 창의성이 요구되는 분야에 집중 투입할 방침이다.

소프트뱅크 역시 모든 직원의 AI 개발 참여를 의무화하는 강수를 뒀다. 올여름까지 모든 직원이 한 명당 100개의 AI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도록 한 것이다. 오픈AI의 개발 도구를 이용해 데이터 분석, 문서 서식 생성 등을 돕는 앱을 직접 만들고, 이 중 유용성이 입증된 앱은 전사 업무에 즉각 도입한다. 자회사인 페이페이(PayPay) 또한 AI 업무 대행을 전제로 인사 평가, 채용, 인재 배치 등 기존 인사노무제도를 앞으로 2~3년에 걸쳐 단계적으로 개편하는 작업에 착수했다.

◇ "AI 경쟁력 뒤처졌다"…파격적 실험 나선 이유


양사가 이처럼 AI 활용을 서두르는 배경에는 "AI를 능숙하게 다루는 직원이 얼마나 있는지가 기업의 경쟁력에 직결된다"는 소프트뱅크의 미야카와 준이치 사장의 확고한 인식이 자리 잡고 있다.

실제로 컨설팅 기업 PwC에 따르면, 금융 등 AI 도입 효과가 큰 산업의 생산성 신장률은 AI 보급 이전(2018~2022년)에 비해 2024년 현재 약 4배 증가했다. 독일의 시장조사기관 스태티스타는 일본의 생성형 AI 시장 규모가 2023년 대비 17배 성장해 2030년에는 130억 달러(약 17조9335억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 장밋빛 전망 속 日 'AI 이용률'은 제자리


하지만 미국 마이크로소프트 등의 조사 결과, 일본 직장 내 생성형 AI 이용률은 2024년 기준 32%로, 세계 평균(75%)에 크게 못 미친다. 중국(91%), 미국(71%) 등 주요 경쟁국과 비교해 활용에 소극적인 기업이 많으며, 일본 총무성에 따르면 AI 활용 방침을 수립한 기업조차 49%에 불과하다.

이번 조치는 일본 내 AI 활용 문화를 선도하는 상징적인 조치로 평가받는다. 소프트뱅크 그룹은 반복적인 업무를 AI에 맡겨 직원들이 창의적인 고부가가치 업무에 집중하는 체제 전환을 가속화하고, 미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한 셈이다. 이와 함께 주요 자회사를 포함해 총 10억 개의 AI 활용 사례를 창출한다는 구상도 내놓았다. 업계에서는 이번 결정을 계기로 일본 내 다른 대기업들도 유사한 AI 활용 의무화 정책을 도입할 가능성이 커졌다고 보고 있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