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나라의 30~40대 여성 고용률이 경제개발협력기구(OECD) 37개국 중 31위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한국경제연구원이 경제개발협력기구(OECD) 여성 고용지표를 분석한 결과, 2019년 한국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과 고용률은 60%, 57.8%로 OECD 37개국 가운데 각각 33위, 31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여성 고용률은 25~29세 71.1%로 가장 높았다가 ▲30~34세 64.6% ▲35~39세 59.9%까지 낮아졌다.
이에 따라 한국과 G5 간 여성 고용률 격차는 25~29세 5.9%포인트에서 ▲30~34세 11%포인트 ▲35~39세 16.6%포인트까지 벌어졌다.
한경연은 한국의 30대 여성 고용률이 25~29세 수준으로 유지된다면 31만8000명의 고용 손실을 막을 수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15세 미만 자녀를 둔 여성은 G5 국가들보다 한국에서 취업하기 더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15세 미만 자녀를 둔 여성 고용률은 57%로, G5평균인 72.2%보다 15.2%포인트 낮았고, 여성 고용률이 가장 낮은 미국의 70%보다도 13%포인트 낮았다.
한국의 여성들이 경제활동에 참여하지 않는 이유로 65%가 육아·가사 부담을 꼽았다.
한국의 여성경제활동지수는 OECD 33개국 중 32위로 최하위권이었다.
GDP 대비 모성보호 관련 공공지출 비중은 0.4%로 G5평균인 1.5%의 3분의 1 수준에 불과했고, 한국의 성별 임금 격차는 32.5%로, G5평균 17%의 2배에 달했다.
이정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bellykim@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