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광주 무등산 정상, 57년만에 빗장 풀었다

공유
1

광주 무등산 정상, 57년만에 빗장 풀었다

23일 오전 무등산 정상부 인왕봉 전망대를 오가는 탐방객 옆으로 공군 방공포대 보안시설을 들여다볼 수 없도록 가림막이 설치돼 있다. 사진=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23일 오전 무등산 정상부 인왕봉 전망대를 오가는 탐방객 옆으로 공군 방공포대 보안시설을 들여다볼 수 없도록 가림막이 설치돼 있다. 사진=연합뉴스
광주 무등산 정상이 57년 만에 시민 품에 안겼다.

광주시와 국립공원공단은 23일 오전 무등산 정상 상시 개방 개통식을 열었다. 상기 개방 구간은 서석대 주상절리에서 군부대 후문 옆을 지나 인왕봉 전망대까지 왕복 약 390m다. 폭은 약 1.8m로 정상까지 한 사람씩 지나갈 수 있다.

상시 개방 첫날을 맞아 많은 탐방객이 한꺼번에 몰렸다. 이로 인해 서석대 주상절리에서 인왕봉 전망대까지 꼬리에 꼬리를 무는 줄이 이어졌다. 긴 기다림 끝에 인왕봉 전망대에 오른 시민들은 들뜬 표정으로 맑을 하늘 아래 펼쳐진 초가을 정취를 즐겼다.

하지만 군사기밀 노출을 막기 위해 설치된 가림막 탓에 경관 구경은 '반쪽'에 그친다는 불만을 제기하는 탐방객들도 많았다. 높이 3m, 길이 90m가량인 가림막은 군부대 후문 옆부터 인왕봉까지 설치된 상태다.

무등산 정상은 지난 1966년부터 공군부대(방공포대)가 주둔하면서 민간인 출입이 통제됐다가 2011년부터 매년 적게는 2번, 많게는 4번 한시적으로 개방된 바 있다. 광주시는 지난해 12월 공군 제1 미사일 방어여단, 국립공원공단과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상시 개방을 추진해 '9월 개방' 약속을 지켰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무등산은 광주시민을 넉넉히 품어줬던 산"이라며 "올해로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인증 5년, 정상부 상시 개방을 시작한 오늘은 무등산이 대한민국과 세계가 인정하는 위상에 맞는 모습을 되찾은 날"이라고 말했다.

한편, 광주시는 관련 용역을 추진하는 국방부와 협조해 방공포대 이전에도 속도를 낼 예정이다. 방공포대가 이전되면 무등산 정상부 천·지·인왕봉이 완전히 개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장용석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angys@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