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대구경실련·참여연대 "대구시, 대형마트 의무휴업일 변경 효과 과장됐다"

공유
0

대구경실련·참여연대 "대구시, 대형마트 의무휴업일 변경 효과 과장됐다"

"대형마트 일요일 매출, 휴업일 변경 전에 비해 53% 증가했지만
수퍼마켓 농축산물은 각각 1,6, 7.1% 감소하며 골목상권 더 위축"

대구시청 전경.이미지 확대보기
대구시청 전경.
대구시가 추진한 대형마트 의무휴업일 평일 변경 논란이 성과논란으로 이어지고 있다.

26일 대구경실련과 대구참여연대(이하 대구경실련 등)는 공동성명을 내고 지난 19일 대구시가 내놓은 성과 발표에 대해 "경제성과 자의적 해석과 포장으로 지역경제 상황을 호도해 문제가 있다"고 비판했다.

앞서 지난 19일 대구시는 ‘대구광역시가 옳았다! 지역상권, 시민 모두 大만족’이라는 제하의 보도자료를 통해 시가 전국 최초로 시행한 대형마트 의무휴업일 평일전환의 효과가 기대이상의 성과를 거두고 있다고 발표했다.

대구경실련 등은 대구시가 성과로 자찬한 평가결과에 대해 조목조목 반박했다. 먼저 대구시가 대형마트 의무휴업일 변경으로 소매 매출 19.8% 증가했다고 주장한 데 대해 "통계청 지표는 5%나 감소했다"고 지적했다.

대구경실련 등은 대구시가 대구시민의 쇼핑 편의가 증진 등 대형마트 의무휴업일 평일 전환을 긍정적으로 평가한 데 대해서 "코로나 기저효과 등으로 크게 높아졌을 전통시장 등의 일요일 매출이 대형마트로 옮겨간 것으로 볼 수도 있다"면서 "대형마트 일요일 매출이 휴업일 변경 전에 비해 53% 증가했지만, 수퍼마켓 농축산물은 오히려 각각 1,6, 7.1% 감소하는 등 골목상권은 더욱 위축됐다"고 반박했다.

대구경실련 등은 또 "대형마트 의무휴업일 변경에 대한 소비자 설문조사에도 문제가 있다"며 "골목시장 상인 및 주민, 대형마트 노동자는 설문대상에서 배제해 찬성하는 사람에게만 설문조사를 한 셈"이라고 조사의 중립성에 의문을 제기했다.

대구경실련 등은 "대구시민의 체감경기와 크게 다르고, 대구시의 2/4분기 소매 판매가 전년 동기에 비해 5% 감소했다는 통계청 자료와도 정반대인 대구시의 발표에 의문을 갖지 않을 수 없다. 대구시의 구체적 해명 및 제대로 된 검증과 조사, 토론을 촉구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정준기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dg9004@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