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대구 시민단체, 박정희 동상반대 서명운동 돌입

글로벌이코노믹

대구 시민단체, 박정희 동상반대 서명운동 돌입

박정희우상화사업반대범시민운동본부(이하 범시민운동본부)’가 20일 박정희 동상 건립 반대를 공식 선포하고 ‘대구시 박정희 대통령 기념사업 지원에 관한 조례(박정희 기념조례)’의 폐지 범시민 서명운동에 돌입했다. 사진=범시민운동본부이미지 확대보기
박정희우상화사업반대범시민운동본부(이하 범시민운동본부)’가 20일 박정희 동상 건립 반대를 공식 선포하고 ‘대구시 박정희 대통령 기념사업 지원에 관한 조례(박정희 기념조례)’의 폐지 범시민 서명운동에 돌입했다. 사진=범시민운동본부
박정희 전 대통령 동상 건립을 강행하는 대구시에 반발해 지역 시민단체가 서명운동에 나섰다.

대구지역 시민사회단체가 연대한 ‘박정희우상화반대 범시민운동본부’(이하 범시민운동본부)’가 지난 20일 박정희 동상 건립 반대를 공식 선포하고 ‘대구시 박정희 대통령 기념사업 지원에 관한 조례(박정희 기념조례)’의 폐지 범시민 서명운동에 돌입했다고 23일 밝혔다.

범시민운동본부는 20일 ‘박정희 우상화 반대, 홍준표 대구시장 규탄 3차 시민대회’를 개최하고 범시민 및 전국 시민사회단체 및 정치권 연대도 본격화했다. 범시민운동본부는 '박정희 동상 건립을 반대합니다' 제하의 선언문을 통해 "홍준표 시장이 구시대적 퇴행으로 민족, 민주의 도시인 대구의 시민정신과 도시 이미지를 망치고 있다"며 "친일, 독재, 부패의 상징인 박정희는 기념해야 할 인물이 아니라 역사적 심판을 받아야 할 인물"이라고 강조하고 동상 건립을 결단코 저지하겠다"고 주장했다.

또 "조례폐지 발안의 공론화 과정에서 박정희 기념사업의 부당성을 드러내고, 지방자치를 말살한 박정희를 기념하는 홍준표 시장의 반역사적 퇴행, 시민의 뜻을 무시하고 일방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홍준표 시장의 반자치적 행태를 드러내기 위함이다"라고 조례폐지 발안의 취지도 분명히 밝혔다.
대구시 박정희 대통령 기념사업 지원에 관한 조례(박정희 기념조례)’ 폐지 범시민 서명운동 모습.이미지 확대보기
대구시 박정희 대통령 기념사업 지원에 관한 조례(박정희 기념조례)’ 폐지 범시민 서명운동 모습.

범시민운동본부는 지난주 더불어민주당 임미애의원, 조국혁신당 차규근의원, 진보당 정혜경의원 등을 만나 범야권 정치권의 반대 성명, 국회 토론회를 추진하고, 독재자 기념사업 금지 법제화 등을 검토하기로 했다. 또 전국 500여개 단체의 연대체인 ‘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에 박정희 우상화 반대 전국 시민사회단체 공동성명을 제안, 추진하고 있다.

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노진철 공동대표는 “설령 박정희의 산업화 업적이 있다손 치더라도 노동자, 농민을 착취한 결과에 불과하고, 그의 친일과 독재, 인권탄압과 사법살인 등의 역사적 범죄는 가릴 수 없다. 박정희를 기념하는 것은 한국 민주주의의 거대한 퇴행으로 결코 용납할 수 없다. 전국의 시민사회단체들이 함께 연대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박정희 기념조례 폐지청구 범시민 서명운동은 온라인 전자서명과 종이 서명지 직접 서명의 형태로 추진된다.

‘박정희 우상화 반대, 홍준표 시장 규탄 4차 시민대회’는 오는 8월 17일 개최된다. 이 대회에는 각 정당 국회의원과 전국 시민단체 대표들도 참석할 예정이다.

한편 홍준표 대구시장은 산업화 정신을 대구 근대 3대 정신으로 규정하고, 박정희 전 대통령 기념 사업 추진 의지를 강조했다.

홍 시장은 지난 22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대구에는 3대 정신이 있다"며 "구한말 국채보상운동으로 구국 운동의 출발이 되었던 구국 운동 정신이 있고, 1960년 2.28. 자유당 독재에 최초로 항거한 2.28 자유 정신이 있고, 1960년대 초에 이 땅의 근대화의 시발점인 섬유공업이 일어난 박정희의 산업화 정신이 바로 그것"이라고 설명했다.


정준기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dg9004@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