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시에 따르면, 현재까지 확인된 공무원 사칭 사례는 총 11건으로, 사칭범들은 위조된 명함과 허위 공문서를 이용해 물품 선납이나 대납을 유도하는 수법을 사용하고 있다.
특히 시청 내부 양식을 정교하게 모방한 ‘가짜 지출품의서’를 제시해 일반 업체들이 진위를 쉽게 구별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사기 유형도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단순 사무용품 납품을 가장한 접근 외에도, ‘노인복지 골프교실 운영 체육용품(골프채)’ 또는 ‘하남시청 창호교체 공사’ 등 실제 시 사업처럼 위장한 요청도 있었다.
시 관계자는 “공무원은 어떤 경우에도 민간 업체와 직접 계약을 하거나 선납을 요구하지 않는다”며 “명함이나 문서, 직책이 실제처럼 보여도 납품 요청이나 금전 거래는 반드시 해당 부서에 사실 여부를 확인하고, 필요 시 경찰에 신고해 달라”고 강조했다.
한편 시는 관내 업소와 유관 기관을 대상으로 사칭 피해 예방을 위한 안내와 홍보 활동을 강화할 계획이다.
이지은 문재희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mjh6907@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