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기자수첩] 고양시의회 킨텍스특위, 감사 경력·추천과정 공정성 집중 조사

글로벌이코노믹

[기자수첩] 고양시의회 킨텍스특위, 감사 경력·추천과정 공정성 집중 조사

엄 감사의 이력·자격 논란 속 투명성 문제 부각
위원회 “공공기관 인사시스템 전반 개선 필요”
고양시의회 행정사무조사특위. 사진=고양시의회이미지 확대보기
고양시의회 행정사무조사특위. 사진=고양시의회
15년간 피아노 학원 운영, 1년 반 다문화센터 근무 이력이 전부.

이 같은 인사가 연간 1,000억 원 이상 예산을 집행하는 고양 킨텍스의 감사 자리에 올라 있다면, 시민들은 납득할 수 있을까.

고양특례시의회 킨텍스인사추천공정성강화를위한행정사무조사특별위원회(이하 킨텍스 특위)는 지난 25일 제3차 행정사무조사를 통해 고양시 공공기관 인사 시스템이 안고 있는 구조적 취약성을 정면으로 드러냈다.

이번 조사의 핵심은 킨텍스 감사로 임명된 ‘엄 감사’의 자격과 선임 절차다. 킨텍스와 고양시의 조직적인 자료 제출 거부에도 불구하고, 특위는 자체 조사로 엄 감사가 피아노 학원 운영 경력 외에 파주시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 팀원으로 근무한 18개월의 이력을 확보했다. 그러나 이외의 행정·재정·감사 관련 전문 경력은 확인되지 않았다. 킨텍스는 국내 최고 수준의 국제 전시장으로, 연간 예산 1000억 원 이상을 집행하는 공기업이다. 이에 위원들은 “법률, 회계, 조직 관리 등의 최소 자격 요건조차 충족하지 못하는 인사가 감사직을 맡고 있다”며 “감사 기능 자체가 무력화됐다”고 직격탄을 날렸다.
문제는 이력만이 아니었다. 공공기관 경영정보공개시스템(클린아이)에 기재된 감사의 이력 역시 기준을 심각하게 위반한 것으로 드러났다. 클린아이 지침에 따르면 최근 3년간 경력을 누락 없이 기재해야 하지만, 엄 감사의 경우 ‘파주시 다문화센터 근무’로만 뭉뚱그려져 있어 실제 수행 직무와 책임 수준을 파악하기 어렵다. 이에 특위는 여러 차례 정보 수정 요구를 했으나, 엄 감사는 ‘검토하겠다’는 모호한 입장만을 반복했다. 특위 관계자는 “정보공개 원칙을 정면으로 위반한 사례로, 이는 단순 기재 누락이 아닌, 임원 검증을 무력화시키는 행위”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이번 조사에서는 고양시가 킨텍스 임원추천위원을 어떻게 선임해왔는지도 도마에 올랐다. 고양시는 킨텍스의 주요 주주로서 6인의 추천위원 중 2명을 지명할 수 있으나, 그동안 추천 절차나 평가 기준 없이 과거 추천 경력이 있는 인물에게 재추천하는 식의 ‘돌려막기식 인사’를 해왔던 것으로 드러났다. 시민의 공공자산을 관리할 고위직 추천이 사실상 비공식적이고 자의적인 방식으로 이뤄지고 있었던 것이다.

특위 최규진 위원장은 “감사직은 단순한 명예직이 아니다. 시민의 세금과 공기업의 윤리를 감시하는 가장 핵심적인 위치”라며 “현재 드러난 문제는 일부 인사의 자격 문제가 아니라, 고양시 공공기관 인사 전반의 구조적 신뢰 붕괴”라고 지적했다. 그는 “특위는 활동기간이 종료되는 7월 31일 이후에도 연장 논의를 통해 이 사안을 끝까지 파헤치겠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를 통해 고양시의 공공기관 인사가 얼마나 불투명하고 비전문적인 구조로 운영돼왔는지 단면이 드러났다. 시민 공공기관에 대한 신뢰 회복을 위해, 단순히 개인 자격 논란에 그칠 것이 아니라, 인사 검증제도와 추천위원회 운영 전반에 대한 구조적 재정비가 불가피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강영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av40387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