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는 기존 주소지 기반 단속 방식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AI 체납차량 출현지도’를 구축, 체납차량의 이동 패턴을 사전에 예측할 수 있는 예측형 단속체계로 전환한다고 13일 밝혔다.
새로운 단속체계는 주정차위반 단속 폐쇄회로(CC)TV 데이터를 빅데이터로 분석하고, 명의도용 차량이나 상습 체납 차량이 자주 출현하는 위치를 ChatGPT 기술을 활용해 지도상에 시각화하는 방식이다.
올해 시범 사업을 거쳐 내년 1월부터 본격 시행해 매월 데이터를 갱신하며 상시 단속이 가능한 시스템을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시는 2025년 1월부터 8월까지 310개의 CCTV 데이터를 분석, 체납차량의 행동 패턴과 출현 빈도를 파악했다. 그 결과 고빈도 출현 지역에서 시험 단속을 실시한 결과, 기존 평균 6시간이 소요되던 7대 차량 번호판 영치 작업을 단 1시간 30분 만에 완료하는 성과를 거뒀다.
향후 시는 사전예측형 단속지도를 기반으로 고빈도 출현 지역에 단속 인력을 집중 배치, 번호판 영치, 족쇄 설치, 강제 견인 등 강력한 체납처분을 시행할 예정이다.
시 관계자는 “AI 기반 출현지도를 통해 무작위 단속이 아닌 데이터 중심의 정밀 단속이 가능해졌다”며 “단속 성공률과 행정 효율성을 높이는 것은 물론, 명의도용 차량 등 불법 차량으로부터 시민의 안전을 지키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단속 대상은 자동차세 및 주정차 위반 과태료 체납액 30만 원 이상 차량으로, 특히 명의도용이 의심되는 운행정지 차량이나 폐업법인·사망자 명의의 상습 체납차량을 중점 단속한다.
시는 올해 7월 기준 8,086대의 체납차량을 파악하고 있으며, 체납액은 약 60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지은 이형주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kuk1515@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