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서울시, '땅속 빈 공간' 5분의1 줄였다…발견 위치지도 공개

글로벌이코노믹

서울시, '땅속 빈 공간' 5분의1 줄였다…발견 위치지도 공개

서울안전누리 내‘GPR 탐사지도’메뉴 확인 방법.  자료=서울시이미지 확대보기
서울안전누리 내‘GPR 탐사지도’메뉴 확인 방법. 자료=서울시
서울시 지반 1㎞당 발견된 공동(空洞·땅속 빈 공간) 수가 10년 전 보다 5분의 1 정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지반침하 예방을 위해 지난 2014년부터 추진 중인 GPR(지표투과레이더․Ground Penetrating Radar) 탐사 실적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9일 빍혔다. 지난 10년간 조사 연장은 약 12배 늘었다.

GPR 탐사는 지표에 전파를 쏘아 반사되는 신호를 분석해 땅속 빈 공간을 선제적으로 발견·조치하는 대표적 지반침하 예방 활동이다. 서울시는 2014년 11월 전국 최초 GPR 탐사를 도입하고, 2015년부터 본격적으로 정례 탐사해 왔다.

연간 조사연장은 2015년 614㎞에서 2025년 9월 기준 약 7,169㎞(약 11.7배 증가)로 늘었다. 시는 연말까지 9,000㎞에 대한 탐사를 완료하고, 내년부터는 인력과 장비를 대폭 늘려 연간 18,000㎞를 탐사할 계획이다. 또 굴착공사장 주변, 일반도로 구간 등도 매년 전수 조사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전문 인력을 현재 7명에서 올해 말까지 10명으로 확충하고, 차량형 GPR 장비 3대를 연말까지 추가로 확보해 총 10대(차량형 7대, 핸드형 3대)로 운영할 예정이다.

2014년 11월부터 지난 달까지 총 3만 3천㎞ 조사, 공동 7760개 사전 조치 완료


GPR 탐사가 시작된 2014년부터 지난 달까지 누적 조사연장은 총 3만 3,129㎞에 달하며, 이 기간 발견된 공동은 총 7,760개로 집계됐다. 전체 기간 중 1㎞당 공동 발견율은 약 0.23개 수준이다.

탐사 거리가 늘어남에 따라 연간 발견되는 공동의 수도 늘었으나, 1㎞당 공동 발견 건수는 2015년 0.41개→ 올해 0.08개로 10년간 약 5분의 1 수준으로 감소했다. 시는 촘촘한 GPR 탐사를 통해 공동을 조기에 발견하고 선제적으로 제거한 결과로 분석했다.

한편, 시는 굴착공사장에 주변에 대한 GPR 탐사도 대폭 강화했다. 지난 4월부터 굴착공사장 인근에 대해 매월 1회 특별점검을 실시하고 있으며, 지하철·도로터널 등 대형 공사장 주변은 주 1회 집중점검 중이다. 이는 최근 굴착공사장 인근에서 발생한 대형 지반침하 사고로 높아진 시민 불안을 해소하고 지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다.

시는 지난 1월부터 9월까지 서울 시내 굴착공사장 289개소와 대형공사장 23개소(신안산선, 동북선, 지하철 9호선 연장, 영동대로 구간 등) 등 총 312개소를 조사해 97개의 공동을 발견하고 모두 조치 완료했다.

11년간 실시한 GPR 탐사 조치 결과 ‘서울안전누리’ 내 ‘GPR 탐사지도’에 투명 공개


GPR 탐사 결과와 조치 현황은 시민에게 투명하게 공개하고 있다.

시는 ‘서울안전누리’ 내 ‘GPR 탐사지도’(서울안전누리→안전정보지도→GPR 탐사지도)를 통해 2014년 11월 이후 발견·조치 완료한 공동 7,760개의 위치, 발견일, 규모, 조치결과 등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GPR 탐사지도’의 노란색 점은 공동이 발생한 위치를 나타내며, 점을 선택하면 상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올해 실시한 GPR 탐사노선은 선으로 표시해 최근 조사 구간과 결과를 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했다.

특히, 9월 말부터는 ‘공동 밀집도’ 기능을 새롭게 도입해 공동이 많이 발생한 지역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했다. 공동 밀집도는 100m 구간 내 발견된 공동 개수(0개, 1개, 2개, 3개, 4~6개, 7~9개, 10개 이상)에 따라 색상으로 7단계를 표시하며, 발견 개수가 많을수록 색을 짙게 해 시각적으로 쉽게 구분할 수 있다.

한병용 서울시 재난안전실장은 “서울시는 지속해서 GPR 탐사를 강화해 왔으며 발견된 공동은 100% 신속 조치해 지반침하를 사전에 예방하고 있다”며 “GPR 탐사뿐만 아니라 굴착공사장의 안전관리를 더욱 강화하고, 지반침하 예방을 위한 신기술을 도입해 안전한 서울을 만들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노춘호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vanish1197@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