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이중근 노인회장, ‘유엔데이’ 공휴일 지정 제안…“6.25 참전 잊지 말아야”

글로벌이코노믹

이중근 노인회장, ‘유엔데이’ 공휴일 지정 제안…“6.25 참전 잊지 말아야”

80주년 유엔의 날 기념식서 재차 제안
용산 유엔참전국 참전비 조성비 후원
6.25 전쟁 역사서 저술해 무상 배포
이중근 대한노인회장(부영그룹 회장)은 24일 부산 남구 대연동 UN기념공원에서 열린 ‘제80주년 유엔의 날 기념식’에서 “6·25전쟁은 유엔군 60개국이 유엔 창설 이후 최초이자 현재까지 유일하게 참전한 전쟁”이라며 유엔데이 공휴일 재지정을 다시 한 번 요구했다. 이중근 회장이 6.25 전쟁 참전 유엔군을 기리며 UN기념공원 상징묘역에 헌화하는 모습. 사진=부영그룹이미지 확대보기
이중근 대한노인회장(부영그룹 회장)은 24일 부산 남구 대연동 UN기념공원에서 열린 ‘제80주년 유엔의 날 기념식’에서 “6·25전쟁은 유엔군 60개국이 유엔 창설 이후 최초이자 현재까지 유일하게 참전한 전쟁”이라며 유엔데이 공휴일 재지정을 다시 한 번 요구했다. 이중근 회장이 6.25 전쟁 참전 유엔군을 기리며 UN기념공원 상징묘역에 헌화하는 모습. 사진=부영그룹
이중근 대한노인회장(부영그룹 회장)이 유엔의 날 기념식에서 유엔데이 공휴일 재지정을 다시 한 번 요구했다.

이중근 회장은 24일 부산 남구 대연동 UN기념공원에서 열린 ‘제80주년 유엔의 날 기념식’에서 “6·25전쟁은 유엔군 60개국이 유엔 창설 이후 최초이자 현재까지 유일하게 참전한 전쟁”이라며 “헌신에 대한 감사함을 잊지 않는 마음으로 유엔데이를 국가 공휴일로 재지정할 것을 다시 한 번 제안한다”고 말했다.

유엔데이는 국제 평화와 안전을 목표로 UN이 창설·발족된 1945년 10월 24일을 기념하기 위해 제정된 기념일이다. 한국에서는 1975년까지 법정공휴일이었으나 북한이 1976년 유엔 산하 기구에 가입하자 이에 대한 항의 표시로 1976년 공휴일 지정을 폐지했다.

이중근 회장은 지난 2015년 서울 용산구 전쟁기념관에 건립된 유엔참전국 참전비 조성비용을 지원했고 역사서 ‘6·25전쟁 1129일’을 저술해 국내외 기관과 해외 참전국에 1000만부 이상 무상 배포하기도 했다.
부영그룹 역시 2023년 공군 하늘사랑장학재단에 100억원을 기부한 것을 시작으로 국가보훈부 ‘제복의 영웅들’ 프로젝트 후원, 6·25재단 10만달러 기탁, 격오지 부대 28억원 지원, 군부대 위문품 전달 등 꾸준한 호국보훈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이에 지난 8월 양부남 더불어민주당 의원 등은 유엔데이 공휴일 재지정이 담긴 ‘공휴일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을 발의했다. 이 회장도 지난 9월 40만명이 동참한 유엔데이 공휴일 재지정 서명부를 국회에 전달했다.


성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weirdi@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