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자유구역·조직개편·재정난 해결”…고양시 발전 위한 삼각 협력 구도 본격화
이미지 확대보기24일 시에 따르면 이 시장은 지난 21일 제298회 고양특례시의회 임시회 개회를 앞두고 김운남 의장을 의장실에서 만나, 시정 전반에 걸친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특히 △고양경제자유구역 지정 추진 △S2부지 매각 절차 △조직개편안 처리 △재정난 완화 대책 등 주요 현안에 대해 심도 있는 의견을 교환했다.
이 자리에서 이동환 시장은 “고양시가 수도권 서북부의 미래성장 거점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의회와 집행부가 상호 신뢰를 기반으로 협력해야 한다”며 “108만 시민의 삶과 직결된 시정 과제들이 정치적 이해관계를 넘어 실질적인 성과로 이어지도록 시의회와의 상생 행정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김운남 의장 또한 “고양시의 발전 방향에는 여야가 따로 있을 수 없다”며 “시의회 역시 시민의 눈높이에서 행정을 감시하되, 필요한 부분에 대해서는 적극적으로 협조하겠다”고 화답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자리에서 김동연 지사는 “고양경제자유구역 지정은 경기북부 균형발전의 상징적 프로젝트”라며 “도 차원에서도 관련 인허가와 행정 지원을 적극 검토하겠다”고 약속했다.
이동환 시장은 이어진 김 지사와의 차담회에서 고양시의 구조적 재정난을 완화하고 자족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구체적인 건의안을 전달했다. 주요 내용은 △고양경제자유구역 및 기회발전특구 지정 협조 △경기도 내 철도사업 운영비 지원 근거를 위한 조례 제·개정 △도-시 공동 추진사업의 예산 분담 현실화 등이다.
이미지 확대보기이 시장은 “고양시는 경기북부의 중심도시이자 수도권 균형발전의 핵심 거점으로, 경기도의 지원과 공조 없이 미래 비전을 완성하기 어렵다”며 “도와의 협력 체계를 공고히 해 자족도시로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다지겠다”고 강조했다.
특히 그는 “경제자유구역 추진, 일산테크노밸리, 대곡역세권 지식융합단지, AI캠퍼스 조성 등은 고양의 미래 산업지도를 그릴 핵심 축”이라며 “이 사업들이 유기적으로 연결될 때 고양은 수도권 서북부의 혁신 성장 중심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고양시는 이번 협치 행보를 계기로 시의회 및 경기도와의 정책 연계 및 협의 구조를 정례화할 방침이다. 시는 현안별 공동 TF(태스크포스) 구성, 정책 공조 회의체 운영 등 실무 중심의 협치 시스템을 구축해 △재정구조 개선 △도시균형발전 △미래산업 육성 △생활 인프라 확충 등 장기 현안의 실행력을 높인다는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고양시는 지방정부와 광역정부, 그리고 시의회가 각자의 역할을 존중하며 협력할 때 진정한 지역 발전이 가능하다”며 “이번 시장의 행보는 단순한 의례적 만남이 아닌, 시정의 방향성을 함께 모색하는 전략적 협치의 시작점으로 평가된다”고 밝혔다.
이번 연이은 협치 행보는 지방정부 간 갈등이 빈번한 최근 상황 속에서 ‘정책 중심 협력행정’의 모범사례로 주목받고 있다. 고양시는 향후 경제자유구역 지정과 대규모 투자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과정에서도 시의회와 도의 협력을 통해 행정 절차의 효율성과 정책 추진 속도를 높여갈 방침이다.
강영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av403870@g-enews.com





















![[기재위 국감] 이창용 "주 4.5일제 장단점 충분히 논의돼야"](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setimgmake.php?w=80&h=60&m=1&simg=2025102913484806385bbed569d6812813480118.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