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부 IITP의 스마트제조혁신기술개발 과제 연구 성과를 제조 현장에 적용
이미지 확대보기공개된 적용사례는 ▲냉장고 내함 성형 공정, ▲식기 세척기 제조 공정, ▲생물학적 폐수처리 공정, ▲식기 세척기 노즐 제조 라인의 총 4가지다.
참고로 제조 디지털 트윈 표준모델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정보통신기획평가원의 정보통신방송기술개발사업의 스마트제조혁신기술개발 내역사업(과제명 : 대규모 확장성 및 고신뢰 분산 시뮬레이션을 지원하는 제조 디지털 트윈 프레임워크 기술 개발)으로 개발되었다.
이는 다양한 시뮬레이션, 분석, 예측 모델을 연결 및 통합하여 국제표준 기반으로 디지털 트윈의 객체관리/실행/컴포지션(연합)을 가능하게 하는 개발 도구 및 실행 기술이다.
‘냉장고 내함 성형 공정’ 적용사례는 AI 모델 기반 냉장고 내함 성형 공정 품질 검사와 냉장고 내함 성형 공정 생산성 예측 시뮬레이션을 목적으로 했으며, ‘식기 세척기 제조 공정‘ 적용사례는 디지털 트윈 통합 관리 플랫폼과 식기 세척기 제조 공정 주요 KPI 분석 시뮬레이션을 목적으로 했다.
또 ‘생물학적 폐수처리 공정’ 적용사례는 철강, 화학, 건설 분야에서 발생되는 다량의 폐수를 처리하기 위해 생물학적 폐수처리(BET) 공정라인을 구축한 현장에 대한 재활용성 및 확장성을 보유한 MDT 모델링을 도출하고, 실제 현장으로부터 BET 핵심 공정 단계를 최적화 및 추상화하고 주요 공정 단계에 대해 범용적으로 적용 가능한 AI 예측 모델 생성을 목적으로 하여 적용되었다.
마지막으로 ‘식기 세척기 노즐 제조 라인’ 적용사례는 전력량 기반 융착공정 품질 예측, 불량률이 적용된 융착공정 생산량 예측, 식기 세척기 노즐조립라인 생산량 및 에너지 사용량 예측 시뮬레이션을 목적으로 기술이 적용된 사례다.
그동안 제조 현장에서는 재사용에 대한 고민 없이 추진 목적에 따라 각자의 방식으로 사일로(Silo) 식의 디지털 트윈 개발을 해왔으나, 이 연구 성과는 디지털 트윈의 확장성과 재사용성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의 개발 도구와 실행 엔진 기능을 제공한다.
정준범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jb@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













![[뉴욕증시] 3대 지수↓, ’월가 공포지수’ 폭등](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setimgmake.php?w=270&h=173&m=1&simg=2025111806424407854c35228d2f5175193150103.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