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성남시, 세계 스마트시티 무대서 ‘모빌리티 혁신 도시’로 인정받다

글로벌이코노믹

성남시, 세계 스마트시티 무대서 ‘모빌리티 혁신 도시’로 인정받다

국내 최초 ‘월드 스마트시티 어워즈’ 모빌리티 부문 대상 쾌거
성남시 차광승 4차산업국장이 ‘2025 스마트시티 엑스포 월드 콩그레스’에서 성남시를 대표해서 ‘월드 스마트시티 어워즈’ 모빌리티 부분 대상을 받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성남시이미지 확대보기
성남시 차광승 4차산업국장이 ‘2025 스마트시티 엑스포 월드 콩그레스’에서 성남시를 대표해서 ‘월드 스마트시티 어워즈’ 모빌리티 부분 대상을 받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성남시
성남시가 세계 최대 규모의 스마트시티 행사인 ‘2025 스마트시티 엑스포 월드 콩그레스(SCEWC 2025)’에서 한국 도시 최초로 모빌리티 부문 대상을 수상했다고 6일 밝혔다.

5일(현지시간)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이번 시상식에서 성남시는 ‘성남형 자율주행 기반 통합 모빌리티 서비스(MaaS)’로 세계적 권위를 자랑하는 ‘월드 스마트시티 어워즈(World Smart City Awards)’의 모빌리티 부문 대상(Winner)을 거머쥐었다. 지난해 ‘혁신 분야(Innovation Award)’ 본상 수상에 이어 2년 연속 수상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월드 스마트시티 어워즈’는 매년 세계 140개국, 1,000여 개 도시가 참여해 지속가능성, 혁신성, 시민 체감도 등을 종합 평가하는 글로벌 시상식으로, 바르셀로나시와 피라 바르셀로나가 공동 주최한다.

성남시의 수상 프로젝트는 신·구도심 간 교통 격차를 해소하고 시민의 이동 편의를 높이기 위해 추진된 ‘성남형 자율주행 기반 통합 모빌리티 서비스(MaaS)’다. 자율주행 셔틀, 대중교통, 차량공유, 퍼스널 모빌리티, 드론·로봇 배송 등을 하나의 플랫폼으로 통합한 것이 핵심이다.
자율주행 셔틀은 성남종합운동장을 중심으로 판교테크노밸리와 성남하이테크밸리 등 주요 산업거점을 연결하며 교통약자의 이동권을 확대했다.

또한 판교역과 서현역 일대에서는 인공지능(AI) 기반 자율주행 로봇이 도시락과 음료를 배달하고, 탄천과 중앙공원에서는 드론이 피크닉 시민에게 간식을 배송하는 서비스가 운영 중이다.

이 시스템은 AI 경로 최적화와 수요예측 기술을 적용해 시민 이동시간을 15~25% 단축시켰으며, ‘스마트 모빌리티 허브’를 통해 충전·공유·주차·예약 기능을 한 곳에 모은 복합공간도 구축했다. 이를 통해 연간 12.4톤의 탄소 배출을 줄이고, 교통약자 1,500명 이상이 새로운 이동 서비스를 경험하는 성과를 냈다.

시는 오는 2026년까지 자율주행 셔틀, MaaS 플랫폼, 스마트 물류 서비스를 완전히 통합한 ‘완성형 모빌리티 도시’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번 수상으로 국내를 넘어 해외 도시와의 협력 및 모델 확산 가능성도 커졌다.

신상진 성남시장은 “이번 수상은 기술 중심이 아닌 ‘사람 중심의 스마트시티’로 나아가는 성남시의 방향성을 국제적으로 인정받은 것”이라며 “앞으로도 시민이 체감하는 혁신적인 이동 서비스와 지속가능한 도시환경 조성에 힘쓰겠다”고 밝혔다.
한편, 성남시는 ‘AI 기반 지속가능한 스마트 모빌리티(AI-Driven Smart Mobility for Sustainable City)’를 주제로 전시관을 운영하며 자율주행 셔틀과 드론·로봇 기반 친환경 교통 생태계를 선보였다. 이번 엑스포에는 전 세계 140개국, 1,000여 개 도시가 참가했다.


이지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dlwldms799@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