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남양주시, ‘2030 도시관리계획 재정비’ 마무리 단계… 주민공람 시작

글로벌이코노믹

남양주시, ‘2030 도시관리계획 재정비’ 마무리 단계… 주민공람 시작

보전지역 220만㎡ 용도 상향 포함… 3차 주민의견·도시계획위·환경·농지 협의 등 절차 대부분 완료
남양주시청사.  사진=남양주시이미지 확대보기
남양주시청사. 사진=남양주시
남양주시가 도시의 중장기 공간구조와 토지 이용 방향을 결정하는 핵심 계획인 ‘2030년 도시관리계획 재정비’ 절차의 막바지 단계에 돌입했다. 시는 지난 11일부터 26일까지 남양주시청 1층 다산쉼터에서 재정비(안)에 대한 주민공람을 실시하며, 사실상 최종 의견 수렴 절차에 들어간다.

이번 공람은 지난 3차 주민의견 청취 이후 관계기관 협의, 평가, 심의 과정에서 조정 또는 제척된 항목들을 포함한 ‘수정 재정비안’을 시민에게 공개하고 의견을 들기 위해 마련됐다. 시는 “주민의 합리적 의견은 최대한 유지·반영한다는 원칙 아래 재정비안을 마련해 왔다”며 “사전 협의와 본 협의를 거쳐 수정 사항을 최소화하는 과정에서 일정이 다소 지연됐지만, 계획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불가피한 절차였다”고 설명했다.

남양주시의 도시관리계획 재정비는 2022년 7월 착수 이후 단계적으로 추진돼 왔다. 시는 2024년 6월, 2025년 1월·3월에 걸쳐 총 3차례의 주민 의견 청취를 완료했고, 4월에는 시의회 의견 청취, 8월에는 도시계획위원회 심의를 진행했다. 이어 4월부터 11월까지 환경·농지·산지 등 관련 부처와의 협의를 병행하며 행정 절차를 차근차근 밟아왔다.

이번 재정비안에는 지난 9월 결정된 도시계획시설과 용도지역·용도지구 조정, 지구단위계획 등 전반적인 개선 내용이 포함된다. 특히 보전용도의 지역(생산관리·보전관리·농림지역 등) 가운데 약 220만㎡를 계획관리 또는 자연녹지지역 등으로 상향 조정하는 내용이 담겨 관심을 끈다. 이는 도시성장을 고려한 전략적 토지 활용 방안으로 해석된다.
시는 이번 공람을 통해 마지막 주민 의견을 수렴한 뒤 관계기관과의 후속 협의 절차를 마무리해 오는 12월 중 ‘2030년 도시관리계획 재정비(안)’을 확정·고시할 계획이다.

남양주시 관계자는 “체계적인 도시 개발과 정비, 보전을 위한 매우 중요한 절차”라며 “조속하면서도 신중하게 재정비 절차를 마무리해 시민이 공감할 수 있는 도시관리계획을 완성하겠다”고 밝혔다.


강영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av40387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