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남창진 서울시의원 “성내천 수변 활성화 사업, 시민 안전과 주변 상권 보호해야"

글로벌이코노믹

남창진 서울시의원 “성내천 수변 활성화 사업, 시민 안전과 주변 상권 보호해야"

재난안전실, 재난 증가 속도에 비해 조직 규모 정체...업무 공백 우려
지난 14일 남창진 서울시의원이 종합감사에서 질의하고 있다. 사진=서울시의회이미지 확대보기
지난 14일 남창진 서울시의원이 종합감사에서 질의하고 있다. 사진=서울시의회
서울시가 현재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다양한 재난에 대응하기 위해 변화를 시도하고 있지만, 재난 발생 속도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서울시의회에 따르면 도시안전건설위원회 남창진 의원(국민의힘, 송파2)은 지난 14일 소관기관인 서울시 △재난안전실 △소방재난본부 △물순환안전국 △서울물재생시설공단 △건설기술정책관 △도시기반시설본부 시설국 총 6개 기관의 종합감사를 실시하면서 재난 발생 속도에 비해 서울시의 대응 속도가 느리다고 질책했다.

남 의원은 재난안전실 대상으로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의 자연재난 17개, 사회재난 10개 등 다양한 재난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가운데, 서울시가 재난 유형에 맞춘 조직과 인력 배치가 미흡하다며 업무 공백에 대한 우려를 표했다.

구체적으로 △중대재해처벌법(2021) △이태원 사고(2022) △대형 싱크홀(2025) 등 재난 환경 변화에 따라 서울시는 중대재해예방과, 인파안전팀, 지하안전과를 신설했음에도 인력은 2016년 안전총괄본부 690명에서 2025년 재난안전실 699명으로 신규 업무 대비 증원 인력은 몇 명에 불과하다.
이와 관련해 재난안전실장은 남창진 의원의 우려하는 업무 공백이 발생하지 않도록 기획조정실과 협의해 조직진단을 하고 인력 재배치를 하겠다는 답변을 내놨다.

이어 남 의원은 물순환안전국에는“현재 추진 중인 성내천 수변 활성화 사업의 옥상 난간 추락방지 안전 강화, 기존 상권 피해 예방 분석, 주민 대상 사업설명회, 홍수 시 안전을 고려한 기초형식(콘크리트 바닥 기초) 등 현재 추진 중인 사업이 시민 안전 우선과 상권에 영향을 끼치지 않도록 해 달라”며 “특히 탄천물재생센터에 설치 예정인 211억 원 규모의 슬러지 건조시설은 검토 중인 탄천 센터 이전을 고려해 경제성 있는 방안을 강구하라”고 했다.

이에 물순환안전국장은 성내천 수변 활성화 사업의 안전 문제를 한 번 더 점검하고 기존 상권에는 나쁜 영향이 없도록 준비해 나가겠다며, 탄천 슬러지 건조시설은 지적한 부분을 검토하겠다고 답변했다.

계속해서 남 의원은 소방재난본부를 대상으로“무인편의점·무인카페 등 무인점포가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올해 1월 소방청이 발표한‘무인점포 화재 예방 종합대책’ 중 무인점포 자율 안전관리 협의체 운영은 점포의 주인이 없는 것이 무인점포인데 협의체 운영을 어떻게 할 수 있느냐”며“주인이 없더라고 주민들이 이용하는 시설이므로 화재안전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노춘호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vanish1197@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