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안전실, 재난 증가 속도에 비해 조직 규모 정체...업무 공백 우려
이미지 확대보기17일 서울시의회에 따르면 도시안전건설위원회 남창진 의원(국민의힘, 송파2)은 지난 14일 소관기관인 서울시 △재난안전실 △소방재난본부 △물순환안전국 △서울물재생시설공단 △건설기술정책관 △도시기반시설본부 시설국 총 6개 기관의 종합감사를 실시하면서 재난 발생 속도에 비해 서울시의 대응 속도가 느리다고 질책했다.
남 의원은 재난안전실 대상으로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의 자연재난 17개, 사회재난 10개 등 다양한 재난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가운데, 서울시가 재난 유형에 맞춘 조직과 인력 배치가 미흡하다며 업무 공백에 대한 우려를 표했다.
구체적으로 △중대재해처벌법(2021) △이태원 사고(2022) △대형 싱크홀(2025) 등 재난 환경 변화에 따라 서울시는 중대재해예방과, 인파안전팀, 지하안전과를 신설했음에도 인력은 2016년 안전총괄본부 690명에서 2025년 재난안전실 699명으로 신규 업무 대비 증원 인력은 몇 명에 불과하다.
이어 남 의원은 물순환안전국에는“현재 추진 중인 성내천 수변 활성화 사업의 옥상 난간 추락방지 안전 강화, 기존 상권 피해 예방 분석, 주민 대상 사업설명회, 홍수 시 안전을 고려한 기초형식(콘크리트 바닥 기초) 등 현재 추진 중인 사업이 시민 안전 우선과 상권에 영향을 끼치지 않도록 해 달라”며 “특히 탄천물재생센터에 설치 예정인 211억 원 규모의 슬러지 건조시설은 검토 중인 탄천 센터 이전을 고려해 경제성 있는 방안을 강구하라”고 했다.
이에 물순환안전국장은 성내천 수변 활성화 사업의 안전 문제를 한 번 더 점검하고 기존 상권에는 나쁜 영향이 없도록 준비해 나가겠다며, 탄천 슬러지 건조시설은 지적한 부분을 검토하겠다고 답변했다.
계속해서 남 의원은 소방재난본부를 대상으로“무인편의점·무인카페 등 무인점포가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올해 1월 소방청이 발표한‘무인점포 화재 예방 종합대책’ 중 무인점포 자율 안전관리 협의체 운영은 점포의 주인이 없는 것이 무인점포인데 협의체 운영을 어떻게 할 수 있느냐”며“주인이 없더라고 주민들이 이용하는 시설이므로 화재안전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노춘호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vanish1197@g-enews.com



















![[일본증시] 닛케이평균, 관광주 매도세로 소폭 하락](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setimgmake.php?w=80&h=60&m=1&simg=2024080515474400644e250e8e18810625224987.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