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 해군이 남북전쟁(1861~1865년)에서 노예제도 유지를 주장한 남부연합(남군)이 사용한 군기 게양 금지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에서는 중서부 미네소타주에서 일어난 백인 경찰의 가혹행위에 의한 흑인 남성 사망 사건을 두고 각지에서 인종차별에 대한 대규모 항의시위가 계속되면서 이러한 사회 문제에 대한 의식의 고조가 군에도 파급되기 시작한 것으로 여겨진다.
마이클 길데이 미 해군 참모총장은 9일(현지시간) 해군기지나 함정, 항공기, 잠수함 등 모든 공공장소에서 남부연합 군기를 게양할 수 없도록 명령하는 초안 작성을 지시했다며, 이는 부대의 단합을 유지하고 질서와 규율을 유지하는 동시에 해군의 핵심가치를 지키기 위한 명령이라고 설명했다. 남군 기는 지금도 남북전쟁에서 희생된 병사들의 추모와 남부의 자랑거리로 남부 곳곳에 걸려 있다. 반면 흑인 억압의 상징이라며 거부 반응도 거세다.
해병대는 해군에 앞서 “남부연합 군기는 너무 자주 과격파와 인종차별단체에 의해 사용돼 왔다. 이 같은 분단 적 신조가 해병대에 존재할 여지가 없다”고 선언하고 모든 해병대 기지에서 남부연합 군기 게양을 금지한 뒤 머그 컵과 자동차에 부착되는 스티커에 이르기까지 이 깃발의 사용을 불허한다는 방침을 밝혔다.
군사전문지에 따르면 육군 역시 남부연합 군기 사용 금지를 검토하기 시작했다. 라이언 매카시 육군 장관은 남군의 장성을 딴 이름인 육군기지의 명칭 변경을 고려할 용의가 있다고 말했다. 이는 미국 전역에서 연일 벌어지는 항의시위로 미군 장병의 약 17%를 차지하는 흑인에 대한 인종적 배려가 높아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김경수 글로벌이코노믹 편집위원 ggs077@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