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일(현지시간) 로이터에 따르면 DJI는 이메일 성명에서 "미상무부의 결정에 실망했다"면서도 그러나 "미국내 고객들은 계속해서 DJI 제품을 정상적으로 구매하고 사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앞서 미 상무부는 18일 중국 최대 반도체 업체 SMIC를 비롯해 DJI 등 일부 중국 업체들을 중국 인민해방군과 연계된 기업들로 간주하고, 이들이 미국 기술을 사용할 수 없도록 하는 했다.
블랙리스트에 이름이 오르면 이들 기업에 제품을 수출하거나 기술을 이전할 때에는 상무부의 면허를 받아야 한다.
드론은 미 행정부가 관심 품목으로 지정한 항목이다.
미국은 DJI를 비롯해 중국 드론 업체들의 부상을 경계해왔다.
미 내무부는 중국산 드론 추가 구매를 중단한데 이어 지난 1월에는 약 800대 규모의 내무부 보유 중국산 드론들을 운항중단시킨 바 있다.
앞서 미 국토안보부는 작년 미 기업들에 중국산 드론을 통한 데이터 유출을 경고하기도 했다.
미국의 블랙리스트 기업 지정에도 불구하고 미국내 판매에는 지장이 없다고 DJI가 강조했지만 향후 전망은 불확실하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퇴임을 앞두고 중국 기업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는 가운데 조 바이든 대통령 당선인 측도 트럼프에 못지 않은 강도 높은 대중 강경책을 이어갈 것이 거의 확실시 된다.
한편 행정부의 조처와는 별도로 미 의회 역시 이달초 국방수권법을 통과시키면서 미 정부 기관들이 중국산 드론을 구매할 수 없도록 했다.
김미혜 글로벌이코노믹 해외통신원 LONGVIEW@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