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클락은 아마존(Amazon.com Inc)에서 운송 네트워크 구축을 총괄 감독했으며 지난해 7월 소비자부문 CEO로 23년 간의 아마존 생활을 마감한 바 있다.
1일(현지시간) 로이터 등 외신에 따르면 데이브 클락 신임 플렉스포트 단독 CEO는 "회사와 다른 사람들을 위해 다시 한번 내 역할을 하고 싶었다"고 밝혔다.
클락은 지난달 28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롱비치에서 열린 S&P글로벌마켓인텔리전스의 TPM23 컨퍼런스에서 "성장이 성공의 열쇠"라고 언급하며 "대부분의 기업들은 이미 글로벌 대기업으로 성장한 기업들이 경험했던 규모의 성장 기회를 갖지 못했다"고 부연했다.
플렉스포트는 올해 말 쇼피파이 판매자들이 주문 수신과 동시에 해운 컨테이너 선적량 확보를 도와주는 서비스를 출시해 값비싼 항공 운송보다 저렴한 해운 네트워크를 선택할 수 있게 할 예정이다.
이 회사는 이 서비스를 다른 사용자들에게 개방할 것으로 전해졌다. 클락은 로이터통신에 "더 많은 사람들이 이 시스템을 이용할수록 이롭다"고 말했다.
플렉스포트는 20억 달러(약 2조6200억 원) 이상의 자금을 조달한 가장 가치 있는 물류 스타트업 중 하나로 평가 받고 있다. 주요 투자자로는 소프트뱅크 비전펀드와 쇼피파이가 있다.
플렉스포트는 정식 라이선스를 받은 화물 운송 업체로, 해상, 항공, 철도 및 도로 화물 운송을 시작점부터 종료점까지 추적 관리한다. 퀴네인드나겔(Kühne+Nagel), 디에치엘(DHL), 유피에스(UPS)등의 경쟁사가 있다.
업계 전문가들은 플렉스포트가 경쟁사들과 차별화되는 기술을 보유한 것으로 평가하고 있으며 특히 플렉스포트의 시스템이 배송 데이터 확인과 식별이 용이한 것으로 전해졌다.
정대민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dmjeong@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