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일본, 나토에 이어 중동·인도에도 외교력 확대

글로벌이코노믹

일본, 나토에 이어 중동·인도에도 외교력 확대

기시다 후미오 일본총리.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기시다 후미오 일본총리. 사진=로이터
일본이 미국의 지지 아래 자유 진영 대리인으로 경제 안보를 내세워 보폭을 키우고 있다. 기시다 총리는 5월 히로시마 G7 회의 주재를 기점으로 외교 무대에서 활약을 한층 강화하고 있다.

일본의 기시다 총리는 빌뉴스 나토 정상회의에서 우크라이나 지원 방안을 논의하고,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나토 도쿄 사무실의 개소 필요성에 대한 제안을 재차 부각한 바 있다.

이어 지연된 중동 방문, 특히 사우디아라비아를 방문해 가장 큰 관심사인 수소 경제 투자 협정을 체결했다. 또한, 인도를 방문해 반도체, 수소 연료 및 기타 첨단 분야 협력을 촉진하기 위한 정책 대화를 확대하고 있다. 하반기에는 중국의 시진핑 주석과 정상회담도 추진 중이다.

◇ 중동에서의 경제 안보 확대
기시다 총리가 3일간 중동을 순방하는 가운데 일본과 사우디는 정기적으로 외교 대화를 하기로 합의했다.

일본과 사우디아라비아는 국가 안보에서 경제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문제들을 다룰 외교장관 간의 전략적인 대화를 시작하기로 합의했다.

기시다 총리는 민주주의와 인권과 같은 가치보다 경제 유대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이 지역에서 상대적으로 약해진 미국 존재를 보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번 방문은 기시다 총리의 첫 중동 일정으로 자원 외교를 추구하는 것 외에도 점점 더 복잡해지는 국제 상황 속에서 이 지역에 더 많이 참여할 의지를 보이고 있다.

에너지 수요의 90% 이상을 중동에 의존하는 일본은 이 지역에 중국의 영향력이 커지고 있음을 무시할 수 없다.

기시다 총리는 빈 살만 사우디 왕세자를 만난 후는 “산유국과 소비국 관계에서 탈탄소 시대의 새로운 세계적 동반자 관계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사우디의 제안에 따라 '라이트하우스 이니셔티브'라고 불리는 전략을 시작하기로 합의했다. 전략에 따른 민관 합동 프로젝트 합의와 함께 암모니아의 공동 생산을 합의했다.

전기차 배터리 등 장비에 필수적인 희토류 광산 개발에 대한 공동 투자도 합의했다. 일본은 초기 사우디 조사를 위해 광산 탐사 지식과 기술 지원을 제공한다. 이는 중국에 집중된 공급원을 다양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사우디아라비아는 국가 전략의 일환으로 국내에서 새로운 희토류 매장지를 찾고 있으며, 일본이 예비 조사에 도움이 되는 기술 전문 지식을 제공할 수 있다. 일본은 수산화리튬 공급의 거의 80%와 코발트 처리의 60% 이상을 중국에 의존하고 있어 대체 공급업체를 찾아야 하는 상황이다.

왕세자와 만남에 앞서 기시다 총리는 자셈 알부다이위 중동 6개국 걸프협력회의 사무총장과 회담을 갖고 자유무역협정(FTA)을 위해 2024년에 회담을 재개하기로 합의했다.

기시다 총리는 UAE와 카타르도 방문해 수소 경제와 LNG 생산 확대 투자도 논의할 예정이다.

◇ 인도와도 경제 안보 강화

인도와는 반도체, 수소 연료 및 기타 첨단 분야의 협력을 촉진하기 위한 정책 대화를 시작하기로 했다. 인프라 개발에서 뉴델리를 지원할 계획이라고 한다. 이 부문들은 인도가 경제 강국으로 가는데 꼭 필요한 사안들이다.

니시무라 야스토시(西村) 일본 경제산업상이 19일 인도를 방문해 아슈위니 바이슈나우(Ashwini Vaishnaw) 정보통신부 장관, 라지 쿠마르 싱(Raj Kumar Singh) 인도 전력·신재생에너지부 장관과 회담한다.

양측은 새로운 프레임워크의 개요를 설명하는 양해각서에 서명하고, 인센티브와 규칙을 조정함으로써 선진 산업에서 일본과 인도 민간 부문 간의 파트너십을 강화하기를 희망하고 있다.

반도체의 경우 일본과 인도가 보조금 대상 기술에 대한 정보를 공개한다. 양국은 각각 최적의 공급망 구축을 목표로 기술 및 소재 개발이나 전문인력 양성 등 각자 강점이 있는 분야에 투자한다.

인도는 반도체 산업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있으며, 2021년에 글로벌 칩 제조업체를 유치하기 위해 약 100억 달러의 인센티브를 승인했다. 뉴델리와 워싱턴은 지난 3월 반도체 분야 협력을 진전시키기 위한 MOU를 체결했다.

반도체 산업 발전을 위해서는 물과 전력 인프라가 필수적이다. 이런 환경과 기술적 측면에서 일본과 협력할 것이다.

수소 분야에서 양측은 차세대 연료 운송에 관한 안전 규정에 대한 합의를 모색하고 있다. 태양광 강국인 인도는 재생에너지로 생산하는 그린수소를 국가전략의 하나로 내세웠다.

인도는 아직 수소를 공급할 파이프라인이 부족하고, 개발되지 않았다. 규제 문제도 남아 있다. 일본은 규제 완화를 인도에 요청 중이다.

일본은 이러한 경제 안보 확대를 통해 현재 5조 달러 아래로 내려간 자국의 GDP 규모를 다시 2030년까지 5조 달러 수준으로 회복하려고 한다. 오랜 기간 고수해 온 자유 진영의 두 번째 경제 강국 위상을 유지하고, 영향력의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