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NBC 등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소셜미디어 플랫폼 트루스소셜 게시 글에서 "베네수엘라산 석유와 가스를 구매하는 국가들은 미국과의 모든 무역 거래에 대해 관세를 부과받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는 관세가 오는 4월 2일부터 발효된다고 밝혔다.
트럼프는 백악관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만약 그들이 베네수엘라에서 석유를 사들인다면, 미국과 사업을 하기 위해 25%의 관세를 내야 한다"면서 "이는 기존 관세에 더해진 것"이라고 말했다.
석유 데이터 분석 및 예측 회사 크플러(Kpler)의 자료에 따르면 베네수엘라는 지난해 하루 약 66만 배럴의 원유를 수출했다. 또한 중국은 남미 국가의 최대 원유 수출 대상국으로, 지난해 하루 27만 배럴을 구매했다.
트럼프의 발언으로 국제 유가는 1% 넘게 상승했다. 글로벌 벤치마크인 브렌트유 5월 인도분 선물은 84센트(1.2%) 상승한 배럴당 73달러를 기록했다. 미국 서부텍사스산원유(WTI) 5월 인도분 선물은 83센트(1.2%) 상승한 69.11달러에 거래됐다.
투자은행 로스(Roth)의 레오 마리아니 애널리스트는 고객 메모에서 "이 뉴스에 비추어 유가가 더 오를 것으로 예상한다"면서 "트럼프가 이 선언을 이행할 경우 유가가 더 오를 수 있다"고 밝혔다.
크플러에 따르면 미국은 지난해 베네수엘라산 원유를 둘째로 많이 수입한 나라로 하루 약 23만3000배럴을 수입했다. 같은 기간 인도는 약 6만1000배럴, 스페인은 거의 6만 배럴을 수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이후 마두로 정권에 대한 압박을 강화해 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관세 부과를 발표하면서 베네수엘라가 '트렌 데 아라구아(Tren de Aragua)' 갱단원들을 미국으로 보냈다고 비난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이 갱단을 외국 테러조직으로 지정했다.
이날 미국 재무부는 또한 셰브론의 베네수엘라 원유 생산 허가를 5월 27일까지 연장했다. 트럼프는 지난 2월 말 바이든 행정부가 셰브론의 베네수엘라 원유 생산 재개를 허용한 결정을 뒤집겠다고 밝혔다. 재무부는 앞서 셰브론에 4월 3일까지 베네수엘라에서 사업을 중단하도록 지시했었다.
이수정 기자 soojunglee@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