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초점] 해운업계, 2050 탄소 중립 목표 달성 '빨간불'

글로벌이코노믹

[초점] 해운업계, 2050 탄소 중립 목표 달성 '빨간불'

IMO 첫 합의에도 불구, 환경단체 "역부족" 경고
청정 연료 전환 및 규제 강화 촉구 목소리 높아
글로벌 해운업계가 탄소 배출 감축을 위한 역사적인 합의를 이끌어냈지만, 2050년 탄소 중립 목표 달성에는 여전히 난항이 예상된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높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글로벌 해운업계가 탄소 배출 감축을 위한 역사적인 합의를 이끌어냈지만, 2050년 탄소 중립 목표 달성에는 여전히 난항이 예상된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높다. 사진=로이터
전 세계 해운업계가 최근 오염 유발 선박에 대한 자금 조달을 골자로 한 국제적 합의를 이뤄냈음에도 불구하고, 2050년 탄소 중립 목표 달성이 어려울 것이라는 비관적인 전망이 나왔다. 환경 운동가들은 이번 합의만으로는 목표 달성에 역부족이라며 계획의 대폭적인 강화를 촉구했다고 트레이드윈즈가 지난 11(현지시각) 보도했다.

국제해사기구(IMO)는 최근 해양환경보호위원회에서 투표를 통해 선박의 온실가스 배출 감축을 위한 구속력 있는 첫 목표에 합의했다. 하지만 브뤼셀에 소재한 환경단체인 트랜스포트 앤 인바이런먼트(Transport & Environment)"이번 합의가 선주들의 청정 연료 채택을 유도하기에는 '큰 폭으로' 미흡하다"고 지적했다.

◇ 환경단체, IMO 합의 '미흡' 지적

트랜스포트 앤 인바이런먼트의 파올로 템포레스티 해양 프로그램 디렉터는 "IMO의 합의는 해운업계가 기후 변화에 대한 책임을 지도록 하는 중요한 첫걸음이지만, 이것만으로는 충분치 않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IMO 회원국들은 2050년까지 탈탄소화를 달성하기 위한 야심찬 계획을 신속히 채택해야 한다""선박 배출량 감축, 청정 연료 전환, 에너지 효율성 향상 등을 포함하는 계획이다"라고 덧붙였다.

IMO의 이번 합의는 2050년까지 해운 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2008년 대비 최소 50% 감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궁극적으로 탄소 배출 제로화를 추구한다. 이를 위해 IMO2027년부터 시행될 새로운 '연료 표준 및 경제적 메커니즘' 개발에 합의했다. 구체적인 내용은 아직 미정이지만, 오염도가 높은 선박에 부과금을 부과하고, 이를 청정 해운 기술 개발에 투자하는 방안이 유력하게 거론된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이번 합의가 탄소 중립 목표 달성에 필요한 만큼 강력하지 않다는 우려도 나온다. 2050년까지 탄소 중립을 이루려면 해운 부문의 배출량 감축 속도가 훨씬 더 빨라야 한다는 주장이다.

◇ 업계, 목표 달성 위한 투자와 협력 강조

클린 쉬핑 코 코얼리션의 시엔 테오 캠페인 책임자는 "IMO의 이번 합의는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가는 단계이지만, 여전히 부족하다"고 평가했다. 그는 "IMO 회원국들이 과학적 근거에 부합하는 더 야심찬 목표를 채택하고, 이를 위한 강력한 정책을 시행할 것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반면, 국제해운연맹의 가이 플래튼 사무총장은 이번 합의를 환영하면서도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상당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이번 합의는 해운 부문의 탈탄소화로 향하는 중요한 발걸음"이라며 "이러한 야심찬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정부와 업계 모두의 상당한 투자와 협력이 필수적이다"라고 강조했다.

해운 부문은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약 3%를 차지하며, 이는 항공 부문과 비슷한 수준이다. 해운 업계의 탈탄소화는 선박의 긴 수명과 초기 단계에 있는 청정 연료 기술 등으로 인해 상당한 난관에 직면해 있다. 하지만 화주와 소비자들의 친환경 운송 요구가 거세지고, 각국 정부의 규제 강화 움직임이 나타나면서 해운 업계의 탄소 감축 압력은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

IMO의 이번 합의는 해운 부문의 탈탄소화를 위한 중요한 진전으로 평가받지만, 비판론자들은 2050년 탄소 중립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더욱 강력하고 실질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