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비시터부터 유모차까지 대중 수입 의존 심화, 물가 부담 커져

6일(이하 현지시각) 미국 경제 전문지 포춘에 따르면 육아 전문 사이트 베이비센터는 지난 2월 기준 미국의 영아 첫해 양육비가 평균 2만384달러(약 2830만원)에 달한다고 추산했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발표한 이른바 ‘해방의 날’ 글로벌 관세 정책 이전의 수치로 이후 물가 상승이 더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고 포춘은 전했다.
CNN에 따르면 문제는 신생아 관련 용품의 상당수가 중국에서 수입된다는 점이다. 유모차의 경우 수입 물량의 97%가 중국산이며 아기용 카시트는 99%, 금속 프레임 유아 침대는 96%, 유아용 신발은 93%가 중국에서 들여오고 있다.
베이비리스트 등 육아용품 등록 플랫폼에 따르면 관세 시행 이후 유모차 가격은 평균 25%, 카시트는 20% 가까이 인상됐으며 일부 고급형 유모차의 경우 900달러에서 1200달러로 300달러(약 41만원)나 뛰었다.
신생아 용품 외에도 완구류 역시 중국 의존도가 높은 품목 중 하나다. 미국에서 판매되는 장난감의 약 80%가 중국산이며 주요 유통업체들은 이미 공급 차질 우려를 제기하고 있다.
아폴로 글로벌매니지먼트의 수석 이코노미스트 토르스텐 슬뢰크는 지난 4일 ‘7월 4일 독립기념일에 불꽃놀이가 없을 수도 있을까’라는 제목의 보고서에서 “수요 탄력성이 낮고 중국이 사실상 독점 공급하는 제품군의 경우 물가가 상당히 오를 가능성이 있다”며 “불꽃놀이용 폭죽처럼 중국 수입에 의존하는 제품은 특히 타격이 클 것”이라고 밝혔다.
전미유아용품제조협회의 통계에 따르면 신생아 필수품의 약 90%가 아시아에서 생산되며 그중 대부분은 중국산이다. 유아복과 장난감, 놀이용품 등도 여기에 포함된다.
이번 관세 조치는 전자제품처럼 구매를 미룰 수 있는 소비재와 달리 수요가 고정적인 영아용품 시장에서 더 큰 파장을 불러올 수 있다는 지적이다.
포춘은 “신생아를 둔 부모들은 울고 있는 아이를 달래거나 안전을 위한 제품 구입을 미룰 수 없다”며 “관세는 이같은 필수 소비재의 부담을 더욱 가중시킬 것”이라고 분석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